[ healthNdiet ] in KIDS 글 쓴 이(By): HanDDol (whassup) 날 짜 (Date): 2002년 9월 8일 일요일 오후 11시 20분 21초 제 목(Title): Re: 제가 아는 운동 상식 몇가지 저도 비전문가이지만 한 마디 덧붙이자면 둘 다 똑같은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만. 일단 무산소 운동은 글리코겐(탄수화물이 몸에 저장될 때 이 형태로 저장됩니다)을 소비하는 운동. 유산소 운동은 지방을 소비하겠죠. 즉, 두 분 다 비슷한 말씀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탄수화물/지방을 소비한다, 산소를 사용/비사용한다. 이 두 가지는 비슷한 말 같습니다. 그리고 무산소 운동으로 전환되면 유산소 운동으로 다시 전환되지 않는다는 말은 아마도 문맥을 잘 이해하지 못 하신 거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Anaerobic Threshold와 관련된 글이라 생각됩니다. 즉, 유산소 운동은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 그림을 그리면 쉬울텐데, 말로 설명하려니. -.- 어쨌든 시간에 따라서 계속 1차 함수 그래프를 그리죠. 그러다 위에 말한 AT에 이르면 더 이상 유산 운동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에너지 범위를 넘어서 버리기 때문에 그 이상의 에너지는 전무 무산소 운동에서부터 끌어내서 쓰게 됩니다. 효율이 가장 좋은 시스템은 유산소 운동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이게 발동 걸리는 게 늦기 때문에 그 동안을 채워주는 게 무산소 운동입니다. 또는 유산소 운동의 Capacity를 넘어버리는 걸 채우는 게 무산소 운동입니다. 그리고 위에 말씀하신 HIIT 였던가? 그걸로 체중을 빼는 것은 이론은 모르겠지만, 실제로 인터벌 트레이닝 하면 죽어납니다. -.- 효율은 좋을 지 모르지만 걍 유산소 운동을 하시는 걸 권합니다. 이상 비전문가의 잡설이었습니다. ^^ 앞으로 이야기가 더 나왔으면 좋겠네요. 저도 운동하느라 좀 정리하고 싶은 게 있어서.. 더 빠르게 .. ^^ What is signature? Is it edible?? If edible, mail to sbhan@os.korea.ac.kr or handdol@nownuri.net how to e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