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arbages ] in KIDS 글 쓴 이(By): cookie () 날 짜 (Date): 2012년 08월 24일 (금) 오전 11시 45분 09초 제 목(Title): 오나니 공기흐름 센서 오픈 스페이스에서 미세한 공기 흐름을 센싱해서 수치로 바꿔줘야 하는데 이런것도 거기서 되나요? --- 아님 뭔가 기존에 비슷한 센서가 있나요 ? clue를 주시면 가능여부는 검토해보겠습니다. ------------------------ 센서가 따로 있는게 아니고 휘스톤 브릿지 회로를 사용하면 됩니다. http://en.wikipedia.org/wiki/Wheatstone_bridge 그림에서 R1, R2 를 저항성 온도센서 (서미스터) 로 바꾸고 R1은 공기흐름이 있는데 노출시키고 R2는 공기가 통하기는 하지만 흐름에 노출되지않게 하면 R1, R2에 전류가 흘러 발열해서 주위보다 온도가 높아지죠. 주위 온도가 서서히 변하면 둘다 온도가 같으니 R1 = R2 니까 전위차가 이 0이 되는데 공기 흐름이 있으면 노출된 R1 만 온도가 떨어지니까 전위차가 생겨서 공기흐름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매우 민감하므로 사람이 느끼기 힘든 아주 미풍도 감지할수 있습니다. 이런 회로를 직각으로 배열해 쌍으로 쓰면 방향도 감지할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R1과 R2의 온도 특성이 매치되도록 소자를 시험해서 선별 매칭을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