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roPe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 <sol.kr.psi.net> 날 짜 (Date): 2002년 1월 21일 월요일 오후 10시 01분 41초 제 목(Title): Re: 영국에 계신 분들께 질문 영국의 교수 직급체계는, lecturer - senior lecturer - professor 의 hierarchy 로 구성됩니다. assistant professor - asscoiate professor - professor 와 'roughly' equivalent 하다고 쉽게 설명합니다만, 나란히 대등하다고는 보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실제로는 lecturer 가 조교수-부교수를 커버할 만큼 직급범위가 넒고, lecturer가 faculty의 대다수를 이룹니다. senior lecturer 로 승진 하려면 업적이 공히 '혁혁'해야하며, professor를 뛰어넘는 senior lecturer 들 많습니다. 영국에서 professor라고 하면, 한 그룹의 chair 격인 경우가 많습니다. 대충 비율을 보면 faculty 6-7 명으로 구성된 한 division 이 있다면, lecturer가 넷 senior lecurer가 둘 chair로서 professor 하나. 정도의 비율이 통상이지요. professor가 되려면 그 분야의 거장소리를 들을정도가 되야하고 비즈니스에도 발넓고 달통해서 프로젝트를 열심히 물어다가 리써치 돈줄을 무지하게 댈 수 있다는걸 증명해야 교수 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업적을 이루어버리면 lectuerer 에서 바로 professor 가 되버리는 수도 있고, 박사학위도 안 받은채로 professor가 되버리는 수도 있습니다. professor는 돈줄이 되는 역활이 가장 기대되기도 하므로 위에서 도니님이 말씀하신 professor 밑에 들어가면 콩고물이 많은이유도 그래서입니다. 하지만 붙들고 앉아 뭘 배우기는 힘듭니다. 정말 발바닥에 불이나도록 바쁜사람들이 많거든요. 기본적으로 때됐다고 승진기회 주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자기가 알아서 죽어라고 일해서 업적과 공로가 쌓였다 싶으면, 자신이 승진될 자격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 승진신청 하시오라고 학교에서 공문내릴때 자기 공로 차곡차곡 쌓아서 들이밀면서 나 승진 시켜달라고 하는거고, 그러다 번번히 원하는 자리가 안 받아들여지면, 그럼 나 딴 학교로 간다 라고협박도 해보고 실제로 다른학교로 프로모션 되서 가는 경우 많습니다. 따라서 senior lecturer 나 professor 들은 한 학교에서 승진되어 올라오는 경우보다 다른데서 영입되어 오는 경우가 더 많죠. 여기서 승진이란 기본적으로 자기가 자기를 selling 하면서 승진시키는 협상제도거든요. 그래서 난 lecturer면 돼 승진에 별로 관심없음하는 야심없는 사람들은 lecturer로 평생 있다가 정년하는 경우도 심심잖게 보게 됩니다. 그래서 lecturer 라고 초짜에다 배울거 없는 허덥한 사람들은 아닙니다. 자리이동을 번번히 하면서 승진을 거쳐가는 통례도, 이곳엔 학교들이 균등하게 발전이 되있기 때문에 가능한것 같습니다. 한 학교에서 다른학교로 옮길 기회도 많고 옮기게 되는것에 대해 교수들이 상당히 open 되어있지요. reader는 좀 특별하고 드물게 보게 되는 직책입니다. 정확히 reader의 정의는 저 자신도 확인은 안 해봤습니다만, 실제 통례는 professor를 시켜줘야 될 사람인데 professor 자리를 낼수가 없어서 눈깔사탕이라도 하나 쥐어주는 자리인 경우입니다. reader로 계속 머물다 professor를 결국 안시켜주고 질질 끌면 십중팔구는 다른 학교에 professor로 어플라이해서 영입되서 가버리는 경우가 생기죠. 뭐 대충 그렇습니다. 직급체계가 궁금하신 이유가 무엇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뭔가를 배울 기회를 원한다면 연구활동이 활발하고 무르익은 lecturer 또는 senior lecturer 와 일을 하는게 더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대신 유명한 professor 밑에 들어가면 지명도를 업게되는 경우도 있고 돈받을 기회도 더 뮌� 수 있으므로 그런 잇점이 있습니다. 근데 유명 professor의 경우 한번 만날려면 두어달전부터 예약해놓고 목빠지게 기다리다가 그나마 막판에 취소되버리거나 그런 일이 비일비재 하므로 혼자 일할수 있는 능력이 탄탄해야 합니다. 장황해 졌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여담으로, 이와같은 직함체계를 가지고 있는관계로 영국에서는 우리식의 '교수' 라는 말에 해당하는 일반명사가 professor가 아니라 lecturer이며, professor는 특별히 full professorship을 칭하므로 여기서 lecturer 인 사람한테 한국이나 미국식으로 professor라고 부르면 다소 당혹스러워합니다. :) 그리고 research assistant는 명확한 구분은 없습니다. 그야말로 research 를 assist 하는 사람이므로 박사를 받기 전일 수도 있고 post doc일수도 있지요. 어떤 level 의 research assistant 인지는 grade 가 뭔지 연봉이 얼마인지로 알 수 있을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