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ducationLearning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abcd) <pc3.hsg.usu.edu> 날 짜 (Date): 1999년 6월 9일 수요일 오전 01시 38분 53초 제 목(Title): 춤추는 학교...(한겨레) [논단] /춤추는 학교/전종호/일산정보산업고등학교 교사 정부의 교육개혁정책이 오히려 교육을 황폐화시키고 여론몰이를 통해 교사들을 무능·부패집단으로 몰고 있다는 요지의 유서를 남기고 한 선생님이 세상을 떠났다. 경제발전의 기수라는 한때의 찬사는 고사하고, 생활고와 사회적 비난을 함께 지고 가는 이 시대 모든 교사들과 함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사실 정부의 강력한 교육개혁 드라이브는 정책의 적합성뿐 아니라, 추진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현 정부의 교육정책의 핵심은 경쟁과 평가 개념을 동원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이 과정에서 `안일'에 젖어있다는 교사집단을 깨워 개혁에 박차를 가한다는 것이다. 이런 정책기조는 가까이는 김영삼 정부의 교육개혁안에 기초하고 있고, 밖으로 영국 대처 정부의 교육개혁을 모델로 삼고 있다. 공교롭게도 영국에서는 교육개혁의 중추 역할을 담당했던 `학교교육과정평가원'(SCAA)의 책임자인 디어링이 “교육의 전문적 책임을 교사에게 다시 돌려주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국가주도 교육정책의 수정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내 인생의 스승'이라는 공익광고에 출연해 교단을 등지려는 교사들을 다독거리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당수 교사들이 교육현실에 염증을 느끼고 교단을 떠나고 있다. 과연 이 나라 교사들은 쥐꼬리만하나마 안정된 `철밥통'을 쥐고 놓치지 않으려는 기회주의자들인가? 교사들은 정녕 교육개혁을 원하지 않고 자기자리만 보전하려는 반개혁적 집단인가? 떠나는 자들이나 남아 있을 수밖에 없는 자들이나 그들의 마음속에 치밀어 오르는 분노와 비애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교육개혁을 논할 수 없다고 본다. 신자유주의라는 거대담론은 집어치우고 초점을 `학교 안'으로만 모아보자. 지금까지 학교와 교사들은 자기들만의 춤으로 신명나게 놀아본 적이 없었다. 춤곡과 춤사위를 개발하는 것은, 아니 솔직히 수입해 온 것은 교육부 관료들이나 일부 교육학자들이었고, 이를 일선학교에 전달하고 시행 여부를 감독하는 것은 교육청 장학사들이었으며, 현장감독은 교장·교감이었다. 감독하는 교장·교감들은 물론 교사들은 상부에서 요구하는 곡에 따라 춤을 추다, 정권이 바뀌고 곡이 바뀌면 잠시 머쓱한 표정을 짓다가 다시 새 춤을 출 수밖에 없었다. 아동중심주의교육, 행동주의적 교육목표, 완전학습, 학문중심주의 교육과정, 발견학습, 세계화 교육 등이 그 동안의 춤곡들이었다. 이 춤을 왜 추는지, 이 춤이 우리 신명과 몸짓에 어울리는지 생각할 자유도 틈도 허용되지 않았다. 명령과 지시 그리고 복종만이 학교의 미덕이었고, 이른바 `튀는' 교사들은 전혀 용납되지 않았다. 이제 우리 교육현장은 다시 학교평가와 교원평가, 학생수행평가라는 춤을 새로 요구받고 있다. 근무평정 하나 과학적으로 하지 못하는 학교행정가들의 칼춤에 누구 코가 깨질지 모른다. 또 우리는 `교육비전 2002'에 따라 `새학교문화창조'라는 춤을 추어야 한다. △학습자 중심의 열린교육 △학생의 주도적 학습 능력 배양 △창의성 신장과 인성교육을 핵심으로 하는 `새학교문화'를 창조하자는데 누가 이의를 제기하랴만, 적어도 권위주의로 특징지워지는 기존의 `낡은 학교문화'의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 누구에게 그 책임이 있는지를 먼저 밝히는 것이 논리적으로 옳은 일이다. 오늘날 교육개혁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아무리 좋은 내용의 교육개혁이라도 교사를 개혁의 대상으로 내모는, `위에서 일방적으로 내려꽂는' 방식은 성공하기 어렵다. 교육개혁은 새 춤을 들여오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신명나게 놀 수 있도록 춤판을 바꾸는 것이어야 한다. 그 춤판은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을 충분히 보장해 주는 학교자치다. ---http://www.hani.co.kr/OPINION/data/9906/day08/0a5s6802.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