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화이트헤드)
날 짜 (Date): 1998년 9월 15일 화요일 오전 11시 48분 02초
제 목(Title): 매경/인터뷰 김기홍 앤더슨 컨설팅 컨설턴�


[ 1998년 9월 15일자 ] 

[인터뷰] 김기홍 앤더슨컨설팅 컨설턴트  
 

[한주한] "테크노MBA는 MBA 과정중에서도 가장 유망한 분야입 니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후 다시 MBA과정을 마 친 김기홍 앤더슨컨설팅 
컨설턴트는 경영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사람 들에 테크노MBA를 강력히 
추천한다. 

테크노MBA는 대학에서 공학계열의 공부를 하거나 현재 생산관련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에 비즈니스에 대한 지식및 사고방식과 기 본적인 
컴퓨터(정보통신) 기술을 가르치는 과정을 일컫는다. 김 컨설턴 트도 
테크노MBA에서의 경험을 살려 지금은 정보통신(I T) 시스템 관련 분야에서 
컨설팅 업무를 맡고 있다. 

비즈니스스쿨이 가장 번창하고 있는 미국에서 시작된 테크노MBA가 국내에서도 
큰 호응을 얻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중반부터. 김 컨설턴 트는 "문과 계통의 
경영자들이 생산시설 운영에 관한 판단에서 취약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면서 
엔지니어의 경영지식 습득필요성이 높아 졌다"고 설명했다. 

삼성 LG 포철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공학계열 출신의 중간관리 자들이 
테크노MBA 프로그램에 등록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는 추세다 . 그는 이 과정 
이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으로 "조직을 일부 사업장이 아닌 전체 
차원에서 볼 수 있는 혜안이 생긴다"고 주장 했다. 흔히 생산부문 관리자는 
효율성이나 생산성에만 관심을 기울이지 만 여기에 MBA지식이 합쳐질 경우 
회사전체 차원에서의 생산성 비용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장점에 따라 최근에는 공학계열 뿐만 아니라 순수과학자 의사 약사 음악가 
미술가 등 테크노MBA의 적용범위가 급속도로 늘고 있 다. 김 컨설턴트는 
"미국서는 테크노MBA과정을 마친 의사가 병원장 의 1순위에 들 정도"라고 
소개했다. 테크노MBA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학계열이나 이과계통의 
배경을 갖고 있을 필요도 없다. 최근 에는 문과 계열 출신에 반대로 공학계열의 
지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의견.제보 : column@mk.co.kr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