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netman (류원진) 날 짜 (Date): 1998년03월27일(금) 13시24분56초 ROK 제 목(Title): Re: 질문: 증권에서.. 이격률이란? 이격도(disparity)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떨어져 있는 정도를 말하는데,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관계에서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크게 괴리되는 현상을 이격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실제적으로 이격도(離隔度)는 당일의 주가(또는 지수)를 이동평균치로 나눈 백분율로서 표시된다. 이격도가 100% 이상이라는 것은 당일의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상태이고 반대로 100% 이하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상태이다. 주가는 어떠한 형태로든 파동운동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격도가 커지면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 되돌아오는 수정운동(반복운동)이 뒤따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정운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범위를 경험적으로 추출하여 이를 투자전략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승국면의 경우는 25 일선 및 75 일선의 이격도가 98% 수준이면 매입시점이고, 25 일선이 106%, 75 일선이 110%가 넘으면 매도시점이 된다. 하락국면의 경우는 25 일선이 92%, 75 일선이 88% 수준이면 매입시점이고, 25 일선이 102%, 75 일선이 104%이면 매도시점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