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chagal (즐거운창작맧) 날 짜 (Date): 1997년09월22일(월) 07시54분45초 ROK 제 목(Title): 흑자도산이란. 주식 투자자에게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투자한 기업의 도산을 어떻게 하면 피하는냐 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투자자는 기업의 도산을 예측해야만하고 투자자는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등에 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기업의 도산을 예측할 수 있는 척도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순이익지표이다. 기업이 충분한 정도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 한 자본조달능력과 부채상환능력을 갖게 되므로 도산가능성은 적다고 할 수 있다. 순이익의 과소여부는 일반적으로 자본에 대한 이익의 정도에 의해 측정되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기업도산위험은 작고 낮을수록 도산의 위험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순이익이 어느 수준이상인 기업이라고 해서 절대도산하지 않는냐... 그것은 그렇지가 않다. 기업을 경영하는데에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업이 자금동원 능력에 이상이 생기면 경영성과(순이익)과의 관계없이 도산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도산을 흑자도산이라고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 기업의 현금흐름표(cash flow)는 재무제표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현금흐름표를 통해 기업의 미래자금운용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흑자도산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투자자는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금같이 주식투자가 어려울 때일수록, 자금 동원력이 기업의 사활을 결정지을때는 한 기업의 현금흐름을 유심히 관찰해야만 투자에 대한 안정적인 성공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