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gonnabe (Starless) 날 짜 (Date): 1997년04월26일(토) 07시09분26초 KST 제 목(Title): [뒷북] 악화가 양화를 구축... 이 얘기는 근본적으로 현재와 같은 지폐를 기반으로 한 화폐제도에 관련된 얘기는 아닙니다. 이러한 현상은 금속에 기초한 화폐제도 (예컨대, 금본위제)에서 나타나는 것이지요. 게다가 자유로운 주 조가 가능하다면 더더욱 강하게 발생하는 현상일 것이구요. 곁길로 들어가서: 갈브레이스의 "경제학의 조망"(이라고 번역된 제 목의 책)에서는 그레샴의 법칙에 대한 시니컬한 평가를 하고 있지요. 비유하기를 대공황기의 미국대통령이 한 말과 비유했읍디다. 그 당 시 미국 대통령이 한 말이라는게, "실업은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기때문에 생기는 것이다."라고 하더랍니다. (요건 갈브레이스의 재인용이라서 사실여부는 확인 안해봤음.) 이시점에서 웃어줘야겠 지요. 두번째 곁가지: 금본위제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일종의 그레샴의 법칙과 같은 우연성이 개입한 사건이라는 것은 아이러닉한 일이지 요. 알려져 있기로는 (이건 역사하는 사람들이 잘 하겠지만) 영국 이 최초로 금본위제를 도입한걸로 알려져 있는데, 애초 계획은 금과 은을 동시에 쓰는 복본위제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교환비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얼빵한 관리가 은전의 액면가를 같은 무게의 은 보다 적게 매겼다고 하네요. 그다음은 뻔하지요? (위에서 여러분 들이 얘기한 것처럼) 당연히 은은 퇴장되고 다른 용도 (비 화폐 용 도)로 쓰여지고, 금만 화폐시장에 남아있게 되는 결과가 나왔지요. 세번째 곁가지: Market for lemons의 원저자인 Akerlof에게 물어 보니 Lemon이 어떤분의 교과서에서 번역해놓은 것과는 달리 원래 속어로서의 의미라고 합디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Lemon의 반대는 뭐냐라고 물으면 대답을 못하곤 했는데 그게 자연스러울수 밖에 없 더군요. 교과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쉽게 하기 위해 약간은 과장된 비유를 쓴거 같네요. If it sounds good, it is good - Duke Ellingt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