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jewel (그냥! 보석�x) 날 짜 (Date): 1995년09월29일(금) 00시35분28초 KDT 제 목(Title): [답] 근로자장기저축 갑자기 수입이 증가하셨다니 일단 축하드립니다. 근로자장기저축말고 근로자증권저축이라는게 있는데 혹시 이 상품을 물어보신것은 아니신지? 근로자 장기저축은 월급여 60만원이하인 직장인만 가입할 수 있고. 올해까지는 연말정산시 연간 저축액의 10.75%만큼 공제됩니다. 하지만 근로자장기저축은 급여제한이 없고, 공제혜택이 없다는게 차이점입니다. 마침 오늘 한국경제신문에 근로자장기저축에 대한 설명이 잘나와있어서 요약해서 올립니다. >1. 이 저축을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자세하지는 않지만, 월급명세서랑 도장만 있으면 될것같습니다. 일단 월급여내에서 월 50만원까지 저축이 가능하고, 연 600만원까지 선납할 수 있습니다. > 2. 몇년짜리가 있으며 이자율은 각각 얼마이고 상한 금액은 얼마입니까. 저축기간은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모두 3,4,5년짜리가 있습니다. 이자율은 종류에 따라 다르겠죠. 주식형: 깡통 - +무한대. 자신의 능력과 재수에 따라서 가변. 채권형: 현재 채권시세가 12.80% 정도되니깐 연수익률로 한10%조금 넘겠네요. 혼합형: 주식도 할 수 있고 채권도 할 수 있으니깐 어떤 종목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변할 수 있음. 그리고 이 상품 가입후 3개월이 지나면 공모주 청약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건 완전히 땅집고 헤엄치기와 마찬가지로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물론 경쟁률이 높아서 수익률이 낮은것이 흠이지만요. 일년에 한 10%-15%정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권형에 투자한다는 가정하에 채권이자로 한 10% + 공모주로 한 10%(최소한) 년 25%정도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겠군요. >3. 이 저축에도 세금이 붙나요? 붙는다면 얼매나 붙을까요? 물론입니다. 세상에 세금없는 수익은 별로없을겁니다. (과외빼고) 올해까지는 농특세 2%만 내면 되었는데(굉장했죠) 내년부터는 10.5%가 이자에 대한 세금입니다. 일반 이자에 대한 세금이 지금은 20%, 내년에는 15%니깐 올해까지는 엄청이익이었지만 내년부터는 거의 비슷하죠! >4. 내후년이면 이런 저축 상품이 다 없어진다던데 그럼 그전에 장기 저축을 신청한 사람은 계약 기간 끝날때 까지는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내년부터입니다. 이런 저축상품이 없어지는건 아니고 이런 상품들이 가지고 있던 장점이 사라지는 겁니다. 이전에 신청한 사람도 내년부터는 칼같이 바뀐 세율을 적용합니다. 올해까지의 수익에 대해서만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5. 근로자 장기 저축 이외에 유리한 다른 투자 방법은? 글쎄요.. 어느정도의 수익률을 기대하는가에 따라 다르겠죠.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의 크기라든가, 방법 예를들어 목돈을 바로 투입할 수 있는지 아니면 매달 적당한 돈을 투자할 수 있는지 언제까지 투자할 수 있는지.. 자금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투자방법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