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Car ] in KIDS
글 쓴 이(By): shpark (박상현)
날 짜 (Date): 1994년07월20일(수) 00시53분55초 KDT
제 목(Title): [DIY] 엘란트라 트로틀보디 청소


트로틀보디 청소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 차량에 모두 필요한 것입니다.

하이텔에서 퍼왔습니다. 엘란트라를 기준으로 적은 글이지만, 다른 차량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upstream    원형민입니다.

  어떻게 알았는지 우리집에는 현대자동차 영업소에서 각종 DM들이 배달되어 와요.
상계동영업소, 테헤란로 영업소, 압구정 영업소에서 다 따로따로 와요.

  그중에 월간 자가정비 비슷하게 오는 종이가 있는데, 2월의 주제는 드로틀보디의
카본제거였읍니다.

  그 페이지의 부제는 "오너 필수상식".  언제부터 오너가 드로틀보디의 카본까지
닦아내야 하는 처지가 되었는지.    정비공장이 하도 모자르니까 일일히 정비해줄수
는 없고, 카센터가면 드로틀보디를 통째로 갈아야 한다고 바가지씌우는 경우가 많
다고 하소연해대니까, 현대 자동차에서 차라리 운전자를 교육시키기로 했나봅니다.

  드로틀보디는 드로틀벨브가 들어있는 알루미늄 부품입니다.  옛날 캬뷰레터 시절
에는 드로틀벨브가 캬뷰레터속에 있어서 드로틀보디라는 부품이 따로 없었읍니다.

  그러나, MPI엔진에서는 캬뷰레터는 사라지고 드로틀만 홀로 존재하게 되었읍니다
그래서 공기통로중에 드로틀이 자리잡고 있는 부분이 드로틀보디입니다.

  보네트를 열어보시면 ECI MULTI라고 씌어있는 (차종마다 구체적인 글씨는 조금씩
다르지만) 알루미늄 탱크가 있을것입니다.  거기에 굵은 검정색 고무파이프가 연결
되어 있읍니다.      고무파이프와 알루미늄탱크사이에 있는 알루미늄 부품이 드로틀

디입니다.

  거기에는 검정색 드로틀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읍니다.  엔진을 빙 둘어서 들어간
케이블이라 찾기 쉬우실것입니다.  그 케이블의 끝에 드로틀벨브가 연결되어 있읍
니다.  그 드로틀벨브를 손으로 잡고 돌려 보십시요.  스프링의 힘에 이겨서 돌아
갈것입니다.  손을 놓으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고요.

  그것이 바로 악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것도 똑 같은 작용을 합니다.  드로틀케이
블은 악셀러레이터 페달과 드로틀벨브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부품입니다.

  시동을 건 채로 드로틀벨브를 손으로 돌려서 조금 열기만 하면 엔진이 부웅부웅
돌아갈것입니다.  카센터종업원들이 가끔 멋으로(?) 해보는 일이지요.

  드로틀보디는 겨우 드로틀벨브가 들어가 있다뿐인데, 왜 중요할까요?

  드로틀벨브 주변에서는 각종 진공을 얻어낼수 있읍니다. 그 진공들은 점화시기
조정, 브레이크 부스터작용등에 요긴하게 쓰입니다.  진공통로의 정밀함, 드로틀
포지션센서의 장착 등의 이유로 드로틀보디라는 부품은 15만원정도의 고가 부품입
니다.  국산화도 매우 어려웠었읍니다.  국산화 초기에는 소나타에서 많은 말썽을
일으켜서 TV뉴스에까지 나왔었읍니다.

  드로틀보디에 카본이 끼는 이유는 배기가스정화 시스템의 일부인 EGR(Exhaust
Gas Recirculation)때문이라고 합니다.  배기가스의 일부분이 드로틀을 통과하도록
배관이 되어 있는데, 배기가스중의 카본이 드로틀주위에 끼어서 진공통로를 막고,
각종 샤프트를 고착시키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EGR을 차단시켜버리면 대번에 NOx 배출기준을 초과해버리니까, EGR을 차단하겠다
는 궁리대신에 드로틀보디의 카본이나 열심히 청소해야지요.

  드로틀보디에 카본이 끼면 IDLE이 불안하고, 심하면 시동이 꺼지기도 한다고 합
니다.  못된 카센터에서는 인젝터가 불량하다고 인젝터 4개 갈라고 그러고, 거기다
드로틀보디까지 한꺼번에 바꿔주는게 좋다고 하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