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ar ] in KIDS 글 쓴 이(By): mongsil (너 아니?) 날 짜 (Date): 1995년06월17일(토) 00시09분19초 KDT 제 목(Title): [합성유]hitel에서 캡쳐~ 제목 : ##엔진오일 합성유에 관해## #6980/14568 보낸이:유재원 (autonews) 08/10 10:09 조회:483 1/3 엔진오일에 관해 질문이 많군요... 엔진오일은 크게 합성유와 광유가 있습니다. 일반 시판되는 오일은 광유이고 쉘의 TMo, 캐스트롤의 파워택, 뉴트론X, 발보린의 터보5는 광유에 합성유가 포함된 제품이고 캐스트롤의 RX(10W40), 발보린의 터보 NO1(5w50), 모빌의 모빌1(5w50)은 100%합성유입니다. 이상의 오일들은 제가 직접 시험해본 오일입니다... 가장 성능이 탁월한 오일은 모빌1이었습니다. 현재 주행키로 9000km인데 아직 쓸만하고 가속, 정숙도, 엔진의 가혹한 부하에 모두 탁월했습니다. 일반 오너가 사용시 20000km는 기본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발보린 터보No1은 보통 가혹조건에서 10000km정도 주행합니다. 가속성과 정숙도 가혹한부하에 견디는 힘은 모빌원과 비슷하지만 오일이 주는 것이 모빌원보다 크고 엔진내부의 고무를 빨리경화시켜 크랭크리태이너나 해드가스�셀【� 오일이 새어나옵니다. 캐스트롤 RX는 30000km정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만 가속성이나 정숙도가 발보린과 모빌에 뒤집니다. TMo, 파워택,뉴트론X, 터보5의 4종류 오일은 일반오일보다는 탁월하지만 100%합성유에는 많이 뒤집니다. 단 이용가치는 높습니다. 일반오일을 넣으시는 분들이 그냥 100%합성유를 넣으시면 오일에 슬러지가 생깁니다. 그래서 오일을 빨리 빼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합성유를 넣고 싶으신분들은 위의 4가지 오일을 먼저 넣으시면 슬러지도 생기지 않고 다음에 100%합성유를 넣을 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항상 행운이 함께하시길... 제목 : [A] 황용현님, 합성유에 관하여! #5835/14568 보낸이:장현주 (shellco1) 04/22 00:53 조회:295 1/4 질문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황 용현님은 신차 출고후 1,000Km에 오일을 교환하실때 합성유로 주입을 하신거죠? 그러면 현재 주입후 9,000Km를 운행하셨네요. 합성유의 수명은 제각기 다 다릅니다. 신유의 성상만으로도 어 느정도 알수있으나 윤활유를 제조하기 위한 첨가제를 얼마나 좋 은 것으로(Cock-Tail) 사용하였는가가 중요합니다. 어떤 Brand 합성유를 주입하셨는지요? 현재 국내에는 PAO계의 Mobil 1, Valvoline Turbo V 및 DAB계의 Vibaria 5W/30, Motul등이 유통되고 있읍니다. PAO니 DAB는 정 비연구분과에서 시간이 나는데로 자세히 설명을 하죠. 또한 제 조과정은 다르지만 고점도지수의 기유를 사용한 TMO, Visco 2000 Plus등도 있읍니다. 합성유는 어의 개념의 차이입니다. 순 광 유도 합성유라 부를수 있지요. 하지만 저나 윤활유회사에서는 자체 특유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고 품질 제품을 합성유라 부르고 있읍니다. 합성유와 광유의 혼용성은 사실 아무문제가 없읍니다. 하나 고 급제품을 사용하다 저급 제품으로 차에 주유를 하면 차가 적응을 바로 하지 못합니다. 기계라 적응이 무슨 이야기냐 하시겠지만 윤활유와 기계재질, 기계특성과는 상당한 밀접한 관계가 있읍니 다. 보통 윤활유를 이종의 오일로 교환시 그 엔진에 적응되는 시 기를 버스회사에서는 최하 6개월 정도를 잡고 있읍니다. 즉 저급 에서 고급유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6개월 정도 후에나 효과가 나 타난다는 거죠. 엄밀히는 12개월까지도 보고 있읍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합성유를 사용하다 순 광유를 사용하면 엔진이 재채기(?) 를 하는 거죠. 반대로 순 광유에서 합성유로 품질을 올리면 엔진 이 아주 좋아하고요. 승용차에서는 사실 위의 문제들이 그리 큰 이슈는 아닙니다. 운전조건이 양호하기 때문이죠. 제가 아래에 썼던 글과 약간 혼동이 되시죠? 아래글은 오일의 혼용성 이야기 입니다. 같은 광유끼리 혼용(보충오일 주입 경우)은 윤활기유가 이종인 것을 혼합시에는 문제가 있읍니다. 그러나 이도 잠시동 안 사용하는 승용차에는 별반 문제가 없읍니다. 이러한 윤활기유 면에서 합성유+순광유는 순광유+이종 순광유 보다는 났다는 이야 기 입니다. 순 광유도 같은 SG급이라도 품질이 제각기 다 다릅니다. 어쨌거나 합성유는 순광유보다는 성능이 2-3배 이상입니다. 그러나 또 강 조 하지만 제조업자가 얼마나 정성들여 제품을 만들었는가가 제일 큰 문제죠. 이는 본인이 직접 실차 테스트를 하던지 테스트를 해 보았던 분들에게 물어봐서 알아봐야 합니다. 제목 : [A:2812] 합성유란.... #2817/4153 보낸이:성인규 (WIPEMAN ) 05/13 02:48 조회:348 1/2 엔진오일은 광유와 합성유로 나뉩니다. 그 중간엔 광유와 합성유가 섞인것도 있구요. 광유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쓰고 있고,순정으로 나오는 오일이죠. 보통 엔진오일가는 비용이 1-2만원안팍. 광유는 3000KM정도마다 갈아주는게 정석이죠. 그리고 광유는 3000RPM이상의 고RPM에서는 엔진안의 각 기관들을 보호하는 기능이 약합니다.그래서 광유를 교환할때 보면 슬러지가 많죠. 합성유는 예를 들면 발보린 터보 NO'1,캐스트롤 RX,그리고 모빌의 모빌1이 있습니다.합성유는 보통 광유로 된 엔진오일의 2-3배가 넘는 가격입니다.비교적 비싼 가격인지 아직까지 크게 대중화되고 있진 않죠. 합성유의 특징은 우선 엔진보호,윤할작용이 광유보다 월등합니다. 그리고 고열에도 잘 견디므로 고RPM을 자주 이용하는 운전자에게는 필수적입니다.오일의 수명은 광유의 2-3배입니다.수명과 기능을 생각한다면 결코 비싼게 아니죠.보통 저는 모빌1을 쓰고 있는데 10000정도 뛴후 갈아줄 생각입니다.순정오일인 광유에 비해 정숙하고, 느낌이 부드럽습니다.합성유를 사용한다면 별도의 엔진코팅제같은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합성유자체의 기능만으로도 충분하니까요. 제목 : [A] 합성유 얼마타고 교환할까... #2514/4153 보낸이:김준완 (cauchy ) 05/04 07:56 조회:468 1/4 안녕하세요, [코시] 입니다. 합성유는 자사제품광고에 나온 만큼 오래 쓸 수 있는 것은 무리 인듯 싶지만 적어도 일반 엔진오일의 2배 ~ 3배는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엔진오일을 쓰다가 합성유를 쓰면 엔진오일의 색깔이 금새 검게 변하는데 이것은 전에 쓰던 엔진오일 때문에 엔진 내부에 생긴 슬러지, 카본과 같은 노폐물(?)을 합성유가 녹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 입니다. 카센터에 가보면 무료로(?) 엔진오일을 점검해준다면서 이런 검은 합성유를 보면 교환할 때가 되었다고 친절한 조언을 해주죠. 하지만 단지 색깔이 검다고 교환할 때가 된 것은 아닙니다. 물론 색깔도 한가지 엔진오일 교환 시점의 판단조건이 되긴 하지만 일반 엔진오일을 쓰다가 합성유로 바꾼 경우는 예외의 경우죠. 일반에서 합성유로 바꿀 경우에 금새 검게 변하는 일을 겪지 않으려면 엔진내부 세척제를 넣어 폐오일을 뺀다음에 합성유를 넣으면 그러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면 금새 검게 된 합성유를 어느정도 타는 것이 좋을 까요? 다 같은 합성유라도 제품의 질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절대적인 기준은 될 수 없지만 합성유->합성유를 10,000 km 탄다고 하면 일반 -> 합성유는 약 80%정도만 타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반 엔진오일은 윤할 성능이 9 - 10 - 9 - 8 - 6 - 3 (시간에따라) 라고 한다면, 합성유는 9 - 10 -10 - 9 - 9 - 8 ( 여기서 10이란 수치는 윤활유 각각의 최대 윤할성능을 말하는 것이며, 일반 10, 합성유 10 이라고 같은 윤할성능을 가진다는 의미는 아님) ..이런 식으로 일반 엔진오일의 수명은 나중에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에 합성유의 수명은 점진적으로 떨어지는 경┣이 있습니다. 제 친구가 합성유로 3번 연속 교환해본 경험에 의하면 좀 오래타서 걱정이 되어 엔진오일을 교환하고 나서의 느낌이 교환하기 전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을 말하더군요. 합성유가 비싸다고 그러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것은 사실이고 유통 구조를 좀 바꾸던지 가격파괴를 해서 가격을 좀 떨어뜨려야 한다고 저 역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를 꾸미고 이것 저것 출력 증강장치를 붙이시는 분들에겐 합성유가 결코 비싸지 않은, 그리고 투자대 효과면에서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는 것을 감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단기적은 효과보다도 엔진이 좋은 상태로 오래 갈 수 있다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한번 생각해 보시면요... 자가 정비를 하는 저로써는 1년에 4번 정도 엔진오일을 교환할 것을 2번만 하면 되니 정말 편합니다. 정비하기엔 좋지 않은 겨울과 여름을 피해 봄, 가을에 교한을 하지요..히히. 일반 엔진오일을 쓸 때 추운 겨울과 더운 여름에 엔진오일을 교환하던 생각을 하면... 너무 편해요~ 175/60 R29 _________________ 커피같은 남자 / cauchy[코시] 주나니 제목 : [A] 산화에 따른 합성유의 보관수명 #380/4153 보낸이:원형민 (upstream) 01/29 09:00 조회:298 1/2 흠...오일은 산화됩니다. 산화(oxidation)라는 것은 자연의 법칙으로 써, 거역할 수 없는 일입니다 - 인간 세포의 노화를 산화의 과정으로 설 명한 학자도 있지요. 그런데, 자연의 거의 모든 반응은 온도의 지수승(exponential)으로 급 격히 빨라집니다. 절대온도의 지수승이지요. 그래서 100K(-173℃)에서 하루 걸리는 반응은 300K(27℃)에서는 20배나 빨라집니다. 산화반응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래서 25℃의 실내에서 산화되는 것과 200℃의 엔진 내부에서 산화되는 것과는 약 5배의 속도차이가 납니다. 게다가 엔진 내부에서는 끊임없이 순환되므로 산화가 안 되었던 저 밑 부분의 오일도 위쪽으로 퍼올려져서 새로 산화됩니다. 따라서 엔진속의 산화속도는 아주 빠릅니다. 반면 실내에 보관하면 산화속도 자체도 느릴 뿐더러 섞이질 않으므로 표면의 아주 얇은 층만 느리게 산화될 뿐, 밑부분까지는 산소가 투과하질 않으므로 산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다시피 합니다. 따라서 합성유의 보관문제는 걱정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이상 끄읕~~~~~~~~=================================== 하이텔에 가면 CAR란과 dalguji 동호회에 많은 굇滂湧� 있어요. 합성유에 관한 자료도 엄청 많구요..여기 실은것은 그 일부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안녕히~ **안전운행~ /!!\ ^~^ / !! -\ 미지의 그니를 찾아 헤메는 몽실이~~~~(^_^) / !! -\ ^~^ / !! --\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