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onymous ] in KIDS 글 쓴 이(By): 아무개 (af0040) 날 짜 (Date): 2013년 02월 08일 (금) 오전 06시 19분 57초 제 목(Title): Re: 공무원 봉급관련 기사 직접 본 건 아니지만 언니 이야기를 들어보면 1. 5급으로 들어가서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기는 어렵다. 2. 대부분 45 - 50세쯤 퇴직 압박이 들어오면 산하기관에 2-3년 더 다니고 집에서 쉬게 된다. 3. 산하 기관 가는 건 나날이 어려워 지고 있다. 4. 월급이 많은 건 아니지만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합격하면 인문계 졸업한 친구들보다 조금 못 버는 수준. 5. 비고시 출신이나 기술고시는 퇴직 압박을 일찍 받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등이 생각나는 군요. 우리 대학이 국립대 연봉서열 하위 10%안 쪽인데 지금 3급인 언니보다 월급이 많은 걸로 봐서 교수가 공무원보다 나은 듯. 그리고 지금은 좀 나아졌지만 언니가 처음에 들어가서는 청사 근처 찜질방에서 출퇴근할 정도로 일량도 왠만한 사기업만큼은 될 걸요? 2013년 02월 07일 (목) 오전 06시 37분 36초 아무개 (af0084): > >대기업 다니다가 교수로는 가도, 교수하다 대기업 안갑니다. > >공돌이가 의대는 가도 의사는 공대안가죠. > >사기업다니다가 공무원으로는 가도 공무원이 사기업은 안가죠 > >공무원들은 항상 단순 월급만을 비교하려하지만 > >실상은 월급뿐 아니라 연금을 포함한 각종혜택을 모두 > > 고려해야하죠. > > >그리도 누가 좋은지도 누구나 다 압니다. > >누가 좋은지 하나하나 따지지말고 인력이동 방향만 보면 됩니다. > > > 이 글타래 원글(52번 님)의 주제와는 약간 벗어난 이야기이지만, > > 12번님 글에 이어 써 봅니다. > > > 첫째로 중앙부처, 특히 재경직 공무원들은 현실적으로 철밥통이 아닙니다. > > 행시 후 5급에서 시작하여 4급으로 갈 때 한 번 고비가 오죠. > > 동기들은 사기업 가서 그럭저럭 잘 살고 있는 것 같아 보이고, > > 주변에서 중앙부처 사무관이라고 대단하다고 하는데 현실은 빡빡한 봉급에 > > 도대체 될 지 모르는 승진. 초반부터 못견디는 사람들 꽤 있습니다. > > 특히 4->3급에서 승진이 늦어지거나 좌절된 사람들은 (특히 재경직) > > 사기업으로 옮기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지요. > > 그리고 2->1급에서 또 한번 고비가 오지요. 많은 분들이 여기서 옷 벗습니다. > > > 노무현 정부 이후 고위공무원단 제도가 시작되면서 약간 족보가 꼬이는 경우도 > >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후배 기수가 치고 올라가면 압박 받지요. > > > > 둘째로, 공무원들이 대체로 연금이라던가 혜택들이 좋긴 하지만 > > 각종 수당 합치는 것을 생각하면 사기업에서의 PS+PI도 생각해야 합니다. > > 이것까지 고려하면 공무원의 상대적(?) 박탈감은 한층 더 하죠. > > 다만 이런 소리 밖에서 했다간 매도되기 십상이기 때문에 그냥 얘기 안하는 > > 경우가 많습니다. > > 같은 맥락에서, 공무원 연금이 혜택이 굉장히 큰 것은 맞지만, 대신에 퇴직금이 > > 없는것도 고려를 해야 하죠. > > > 결론)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인사적체가 심해서, 철밥통이 되질 않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