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anted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here) 날 짜 (Date): 1995년08월31일(목) 10시34분44초 KDT 제 목(Title): [답함]Erlang이란 Erlang은 통화 회선을 사용하려는 시도의 rate와 평균 한 번의 사용시간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즉 1/sec의 사용 시도율과 1sec의 평균사용시간을 가진다면 1/sec*1sec = 1Erlang이 됩니다. 이것은 이상적인 경우에 이 회선이 항상 점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는 군집적인 특성을 가지며 트래픽이 몰리기 때문에 회선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와 회선 사용 시도가 실패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겠죠. 위의 ...쨕bps의 회선을 0.2Erlang으로 사용 한다는 것도 그 회선이 평균적으로 점유되어 있을 확률이 0.2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일 같은 양의 데이타를 처리해야 하는데 절반의 처리 용량을 가지는 회선을 사용한다면 데이타 처리 시간이 2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0.2erlang에서 0.4Erlang으로 늘어나게 될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