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ach ] in KIDS 글 쓴 이(By): yonho (Song) 날 짜 (Date): 1995년04월18일(화) 07시13분42초 KST 제 목(Title): [r]C-Kermit 질문입니다!! 아래글은 제가 옛날에 하나비에 써 놨던 건데 도움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한가지 미리 아셔야 할 것은 커밋은 엄청나게 느리기 때문에 상용비비에스에서 커밋으로 파일을 가져오는 건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연결된 동안 사용료를 내야 하는 경우는 차라리 돈을 더 내고 ftp를 이용하는게 나을 겁니다. 하이텔은 제가 전혀 모르지만 천리안의 경우는 그렇습니다. Posted By: yonho (Song) on 'QandA' Title: Re: 누구, 한남대에서 파일가져오는법 아시는분? Date: Sat Mar 25 14:12:37 1995 한남대에서 파일을 가져 오려면 한국에서는 직접 전화를 걸어서 zmodem으로 받으면 되겠고, 미국에서는 kermit으로 한남누리에 들어 간 다음 다운로드에서 커밋을 선택하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커밋을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고 있는 것 같아서 여기서 커밋에 대해 약간의 소개를 하기로 하지요. 커밋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은 유닉스에서 커밋 매뉴얼을 자세히 읽으면 다 알 수 있지요. 혹시라도 모르시는 분을 위하여, man kermit하면 됩니다. 아무것도 안 보이면 kermit 매뉴얼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때문일 겁니다. 요새는 모뎀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ms-kermit은 거의 안 쓰니까 c-kermit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기로 하지요. 다음은 제가 하나비에 들어올 때 쓰는 방법입니다. 우선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kermrc라는 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는 shell prompt, #이후는 제 설명입니다. %more .kermrc set file type binary #파일 전송시 바이너리로. set file incomplete keep #중간에 끊어져도 받은 건 그냥 간직. set server display on #파일 전송 과정을 보여 주던가? Set term byte 8 #중요:remote -> local로의 전송을 8bit으로 이게 있어야 한글이 보임 set com byte 8 #중요:local ->remote로의 전송을 8bit으로 이게 있어야 한글이 써짐 set window-size 3 #이후는 없어도 됨. 조금 더 게을러 보자고한 짓임. define init take $HOME/.kermrc define snu take snu.tak define nayo take nayo.tak define delphi take delphi.tak define date echo \v(date) define time echo \v(time) define ls ! ls \%1 define l ! l \%1 define more ! more \%1 define attr ! attr \%1 ;end of file 그런 다음 option 없이 커밋을 실행시키면.kermrc를 읽어 들이고 명령을 기다리는 C-Kermit> 프롬프트가 보입니다. 그러면 C-Kermit>set host korea.stanford.edu C-Kermit>c 라고 하면 하나비에 연결됩니다. 그런데 좀 더 편하게 하나비에 들어오려면 hana.tak라는 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든다음, %more hana.tak take ~yonho/.kermrc # .kermrc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 ; HANA bbs connection # ;이하는 주석 ; :hana # :는 분기문 작성시 필요. 없어도 됨. set host korea.stanford.edu # host 지정 input 10 login:\32 # 10초 동안 "login: "이라는 말을 기다림. out hana\13 # "hana"라는 말을 보냄. \13은 리턴 input 10 (UserID):\32 # \32는 공간 작대기를 의미 out yonho\13 input 10 (Password):\32 out xxxxxxx\13 # 알아 맞춰봐^_^ input 10 [엔터]:\32 out \13 # 그냥 엔터만 보냄 c # 연결 q # hana에서 나온 다음 그냥 끝냄. ;end of file c-kermit 상태에서 take hana.tak라고 하거나 아예 shell에서 %kermit -y hana.tak 라고 하면 .kermrc 대신hana.tak를 읽어들이게 됩니다. 한남대에 파일을 받으려면 마찬가지로한남누리에 들어가는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more hannam.tak take ~yonho/.kermrc ; ; Adam bbs connection ; :under set host adam.hannam.ac.kr input 10 login:\32 out bbs\13 input 10 [Enter]를 누르세요. out \13 input 10 >> out q\13 input ID :\32 out yonho\13 input 10 비밀 번호 : out xxxxxxx\13 input 10 [Enter]를 치세요. out \13 c ;end of file 조심할 것은 마지막에 q를 써 놓으면 절대 안됩니다. %kermit -y hannam.tak 라고 하면 한남누리에 들어 가는데 자료실에 가서 받고 싶은 화일 번호에서 dn을 사정없이 친다음 전송 프로토콜을 커밋으로 선택합니다. 그리고 "전송 프로토콜을 실행시키세요."라는 말이 나오기를 기다리거나 말거나 ctrl+\ (control 키와 back slash 키를 같이 누름) 하면c-kermit 프롬프트 상태로 다시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C-Kermit>r #receive의 약자 하면 파일이 오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무지 무지하게 느리지만. 전송이 끝난 다음 c(connect)를 누르면 다시 한남누리로 연결이 됩니다. 한가지 더 팁을 소개하면 일단 받고 싶은 파일을 찾은다음 다른 shell이나 또는 잠깐 shell로 나와서, 또는 아예 한남누리에서 나온 다음에 아래의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면 굳이 아무일도 못하고 기다릴 필요가 없지요. %nohup kermit -y get_from_hannam.tak & #nohup은 로그아웃한 후에도 죽지말고 꿋꿋이 일을 하라는 뜻이고 끝의 &는 background에서 일하라는 뜻입니다. %more get_from_hannam.tak take ~yonho/.kermrc set host adam.hannam.ac.kr input 10 login:\32 out bbs\13 input 10 [Enter]를 누르세요. out \13 input 10 >> out q\13 input ID :\32 out yonho\13 input 10 비밀 번호 : out xxxxxxx\13 input 10 [Enter]를 치세요. out \13 input 10 >>\32 out 3\13 input 10 >>\32 ;directory out 6\13 #요녀석과 input 10 >>\32 ;file number out 56\13 #요 놈만 필요에 따라 바꾸면 되지요. ;input 10 >>\32 #때로는 이 줄과 밑의 줄이 ;out p\13 #필요할 때도 있답니다. input 10 >>\32 out dn\13 input 10 (Y/n) out \13 input 10 ? out 2\13 r q ;end of file 써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이 커밋이라는 놈이 무지막지하게 느려놔서 1Mb 정도 크기의 파일을 받으려면 몇시간이나 걸릴 뿐 아니라 중간에 에러가 나서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도 있으니까 이런 식으로 파일 전송용 스크립트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겁니다. 오래된 커밋 버전들은 -y optio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 소스를 가져다가 직접 설치하세요. 제 경우에도 시스템에 있는 녀석을 안 쓰고 C-Kermit 5A(190)이라는 녀석을 따로 가져다 사용하고 있거든요. 어디서 가져왔는지는 잊어버렸는데 archie로 쉽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 / \ O=| _1_ __|__ | o L _|_ O Yonho Song yonho@nayo.umd.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