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ach ] in KIDS 글 쓴 이(By): rom (rom) 날 짜 (Date): 1997년09월23일(화) 13시00분31초 ROK 제 목(Title): Re: [Q]변리사에 대한 정보를...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과학과목을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가장 비중이 큰 쪽은 화학과 생물쪽이고 , 그다음은 물리 , 가장 비중이 낮은 분야는 지구과학 입니다. 이 분야에 대한 공부는 고등학교 수준보다 좀더 높고 대학수준보다는 낮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ㄷ. 한가지 첨부할 사항으로는 전자신문이라든가 신문의 과학기술 분야나 ㄴ경제 분야에 대한 것을 틈틈히 읽어 두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냐면 매년 이런 새로운 분야와 연관해서 시험을 몇 문제를 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영어시험인데 영어시험은 토플 정도의 수준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영어단어의 수준은 토플처럼 어려운 단어가 그리 많이 나오지는 않구요, 문장구조라든가 그 단어의 활용법, 그리고 독해의 수준은 보편적인 시험의 수준이구요 다른 고시 보다는 쉽다고 생각됩니다. 독해와 관련되어서 나오는 것을 살펴보면 한 패러그래프에 딸린 문제가 상당히 많이 나옵니다. 그렇지만 변리사 시험을 보시는 분들이 대부분 낙방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 분야는 바로 이 영어분야입니다. 물론 영어를 하지 않고 다른 외국어 시험을 보신다면 점수를 따기가 더 쉽습니다. 특히 독일어나 영어 시험은 상당히 쉬운 편이라고 들었습니ㄷ. 그리고 일본어 시험은 영어 시험정도어ㅢ 수준이라고 하니까 참고를 하셔야 되겠지요. 지금이 9월달이고 1차시험은 4월말 정도이니까 지금부터 공부를 하시면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은 9월부터 1월달 까지는 내용을 대체적이로 파악하고 서로간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신뒤 2월부터 시험을 보기전까지 최소하뉴 2번은 다시 복습을 하시느 정도의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물론 직슴은 에전과는 다르게 좀더 많은 사람을 뽑는다고는 하지만 그럴수록 많은 사람들이 도전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선택과목에 대한 것인데 이것은 자기의 전공에 따라서 하시는 것이 아주 좋습니ㄷ. 특히 전자또는 진기공학을 전공하시는 분들께는 아주 유리하다고 볼수 가 있는데 왜냐면 시험의 수준은 대학에서 그쪽과에서 보는 시험의 수준보다는 낮기 때문이지요 . 그외의 분야인 기계나 약학 관련 계열 도 아ㅈ ㅜ좋다고 생각됩니다.그러나 공학또는 이학과목을 전공하시는 분이 아니라 그외의 분야이시라면 아주 힘이 들다고 생각됩니ㄷ. 일단은 그러한 개념에 대해서 공부를 히가가 여간히 까다로운것이 아닙니다. 저같은 경우도 전자공학쪽을 전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다가 나중에 힘이 들어서 변리사 십험ㄴ을 관둔 사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