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Gang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jj:q[ SoGang ] in KIDS
글 쓴 이(By): soonsoo (김형석)
날 짜 (Date): 1993년10월25일(월) 17시16분18초 KST
제 목(Title): 정보과학회가  무사히 끝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주 토요일에 학교에서 정보과학회가 있었죠?
20개의 강의실에서 약 300여편의 논문이 발표가 있었어요.
우리가 학교에서 공부를 하다보면 전산을 공부하는게
마치 우리만인양 착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착각은 
서강대는 공부를 많이 시킨다라던지 서강대는 명문이다라는
기존의 이미지에 의해 증폭되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우리보다 네임벨류(한글로 하면 이름값?)이 떨어지는
학교 � 사람들은 우리보다 공부를 안할까요?
우리는 막연히 다른 학교 사람들은 우리보다 실력이 없을꺼다
라고 자만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 학교는 커리큘럼이 너무 빡빡해서 그 것을 따라가려다
보니 많은 시간을 공부하게 되고 다른 학교에 비해 더 많은
실력이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외부에 나가있는 제 친구가 정보과학회에 와서 이런 말을 하고
갔습니다.
  '전산과 중에 우리 학교(서강대)가 제일 실력이 없어....'
어떻게 보면 조금 과장도 된 말이지만 우리학교 전산과 사람들은
커리큘럼에만 주로 매달릴 뿐 하고 싶은 공부, 실제로 쓰이는 공부
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우리 학교에 유닉스 시스템이 있는데 여러분은 이 것을
가지고 무엇을 하십니까?

 단지 메일을 보내고 BBS에 접속하고 사람들하고 talk나 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사회에 나가면 유닉스를 굉장히 많이 사용합니다. 이 사용은 단지
ls명령을 잘 치고 메일을 잘 보내는 그런 것이 아닐겁니다.

말이 약간 헛 나갔는데요.
정보 과학회를 참가한 다음 제가 느낀 것은 우리 나라 전체에서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전산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자만하지 맙시다. 학력고사 커트라인이 졸업후 실력까지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이론에만 매달려서 전공 서적을
달달 외우고 족보를 빠삭하게 풀어서 학점을 잘 받는게 전산
산 공부는 아닙니다. 여러분이 책을 읽어서 익힌 이론이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한번쯤 컴퓨터에 앉아서 찾아 보십시요.
여러분이 kids에 접속할 때 telnet이나 rlogin을 치는데 이런
이런 명령들이 어떻게 시스템의 자원들을 사용하고 네트웍
웍에서 어떻게 호스트를 찾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조금 흥분을 해서 말이 지나치지 않았나 합니다만 모두들 
전산이라는 학문을 암기 과목으로 만들지 맙시다.

 열심히 공부 안한 걸 늘 후회하는 형석이가.....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