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Season ] in KIDS
글 쓴 이(By): ezoo (계란과자)
날 짜 (Date): 2000년 3월 22일 수요일 오후 01시 00분 14초
제 목(Title): OS와 연애방법론. 



초기 운영체제 시스템은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수행하며 준비시간이 많이 걸린다.

일괄처리 시스템은 1950년대 초기의 컴퓨터 처리방법중의 하나로 처리할 데이타를 
일정량 모아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법이다.
장점은 시스템의 사용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반환시간이 늦고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 작업이 어려우며  CPU가 
유휴상태로 되기 쉽다는것이다.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 programming system)은 하나의 중앙처리장치에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높여주는것이다.
이떄의 고려사항으로는
CPU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기법, 스케줄링, 교착상태 등이 있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OS가 존재한다.

다중 처리 시스템(multi processing system)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실시간 시스템(real time system)
분산처리 시스템(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나중에 심심하면 컴퓨터의 OS와 사람들의 "연애방법론"에 대해서 한번 비교를 
해보면 재미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CPU스케줄링과 비슷하게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는지..

어떠한 기준을 두고서, 스케줄링 방법을 선택하는가? 그리고 어떤 스케줄링 방법이 
제일 효율적일까? -_-;

선점(preemptive)일까? 비선점일까? 
즉, 우선순위가 높은 멋진 사람이 나타나면, 현재 사귀던 사람과 중지시키고 
새로운사람을 사귈까? 아닐까?

만약 비선점이라면, 
FIFO(First In First Out)으로 먼저 만난 사람과 먼저 헤어질까?
혹은 Priority scheduling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만나고 헤어질까?

아니면, 선점방법으로 Round Robin 스케줄링을 쓸까?
만약, 라운드로빈을 쓴다면, 들어오는 각 프로세스에 같은 크기의 시간을 할당하게 
되므로, 시간의 크기(즉 연애 기간)를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 효율성(?)이 
좌우될것이다.

SJF(Shortest Job First), multilevel queue.. 등등.. 참으로 많은 방법들이 
있는데, 

사람들마다 case by case 별로 따지고보면, 웬제 잘 맞아떨어질거 같다.  -_-;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