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uizWit ] in KIDS 글 쓴 이(By): white (백두선생) 날 짜 (Date): 1995년05월02일(화) 01시46분34초 KST 제 목(Title): 다시 시작하는 유전공학 문제 이보드가 상당히 썰렁합니다. 그래서, 유전공학문제 하나를 선뵐까 합니다. 옛날 옛적에 몇 문제 낸 적이 있었는데.... 그것의 연속이라고나 할까요. 관심 있는 분들의 상식 증진을 위한다는 것도 한가지 목적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구요.. 최근에 사람의 유전자를 처음부터 끝까지 염기서열을 밝히고자 하는 project가 진행 되고 있읍니다. 이름하여 human genome project입니다. 이것과 맥을 같이하는 연구들로서, 대장균 게놈 프로젝트, 무슨 게놈 프로젝트 등 상당수에 이름니다. 다른 것들에 대해서 자세한 소식은 모르지만, 대장균의 게놈 프로젝트는 최근에 중단될 위기를 맞은 것 같아서 애석하기 그지 없읍니다. 대장균의 염기서열이 현재 60%까지 읽혔는데 말이죠... 참고로, 대장균의 유전자 길이가 총 4.7Mb(Mega base)인데, 약 26Mb를 읽었다는 말이죠... 알고리즘적 축약이니 뭐 이런데 관심있는 사람들 생각 해 볼 가치가 있지 않을 까요? 4.7Mb이면 생명을 창조 할수 있따......... 각설하고, 문제를 보도록 합시다. 대장균의 DNA를(길이는 L) 일정한 길이(l)로 무작위로 잘라서, 어떤 용기에 (전문용어로 vector) 하나씩 담았다고 합시다. 그럼, n개의 그릇을 뒤졌을 때, 제가 원하는 조각(길이는 l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합시다.)을 가질 확률 P어떻게 될까요? 애매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식적인 수준에서의 가정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P.S 참고로, 그릇에 담는 과정을 라이브러리를 만든다고 하고, 이렇게 해서 원하는 조각을 건지는 과정을 유전자 클론닝이라고 합니다. 그럼, 재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