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가 주장하는 것은 5/2가 3이 되도록 하는 어떤 작용이 마찬가지로 10/3에도 작용되어 4가 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실수로 이루어진 두 Space를 생각해 봅시다. 그래서 두실수집합(A, B)을 이어주는 함수를 생각했을 때 이를 f라 하면 지금 f(5/2) = 3이라는 걸 가정에서 알려 준것이죠. 이 f의 작용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이 두 집합을 짝지어 주는 겁니다. <----------------------------------------> A 0 5/2 10/3 5 10 0 3 4 6 12 <----------------------------------------> B 각각의 실수집합안에서는 보통의 사칙연산이 성립하는거고 따라서 f(10/3)이라는 값은 이제 B의 값이므로 B안의 사칙연산정의에 따라 계산이 되겠죠. B안에서는 보통의 사칙연산이 정의되므로 20/5=4가 맞는것이죠. 다시 말하면 5/2*X=3*10/3 부터 B안의 사칙연산정의에 따라 계산되고 있는겁니다. 따라서 jscho님이 지적하신 5/2는 3인데 3/3 = 1, 20/5=4가 성립할 수 있냐는 것은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f(5/2)=3이라 생각하시고 3/3=1, 20/5=4인것은 B안에서 사칙연산정의에 의해 계산한겁니다. 물론 함수개념과 집합내에서의 사칙연산정의를 혼동시킨것은 인정합니다. 그래도 이렇게 설명하면 문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겠죠? (문제를 짧게 내면 혼란이 있고 문제를 길게 내면 고리타분해지고...쩝..) --- Acepark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