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clearsea (晴海) 날 짜 (Date): 2009년 12월 31일 (목) 오후 03시 07분 47초 제 목(Title): Re: 2009년을 보내면서 관심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목은 아직 출판사와 상의 중입니다. 출판 편집이 끝나지 않아서 정확한 쪽수와 가격 등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결정되면 알려 드리겠습니다. 출판사에 넘긴 최종 원고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종 편집과정에서 일부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성냥불 자유민주주의 (가제) 자유민주주의 바로 알기 (가제) [목 차] 추천사 들어가면서 제 1 장. “엉터리” 자유민주주의 1-1. “엉터리” 자유민주주의 교육 1. 막무가내 도덕 교육 2. 자유민주주의가 매우 부족한 도덕/윤리 교과서 3. 도덕/윤리 교과서를 수정해야 한다! 1-2. 정치권의 “엉터리” 자유민주주의 지향 1. 만남의 공동체? 2. 자유주의와 공동체의 어색한 만남 3. 정당은 공동체가 아니라 결사체가 맞다. 1-3. 인터넷의 “엉터리” 자유민주주의 1. 인터넷 자유민주주의 선언 2. 귀신도 원래는 사람이다. 3. 자유민주주의를 바로 알아야 한다! 제 2 장. 자유는 방종이 아니다. 2-1. 방종은 자유일까? 1. 로빈슨 크루소의 방종? 2. 자유와 방종의 정의 3. 우석과 도준은 합리적이다. 4. 욕쟁이/범생이와 적극적/소극적 자유 5. 자유와 자유의 박치기 6. 자유와 방종 문제 풀이: 저항이라는 핵심 단어 2-2. 대한민국 헌법에는 자유가 있다. 1. 자유주의 나라 대한민국 2. 행복 추구권과 개인 기본권 3. 헌법에 명시된 기타 자유와 권리 4. 양심의 자유? 5. 애매한 표현들: 공중도덕과 사회윤리? 공공복리? 6. 현실 속의 자유와 자유 박치기 2-3. 자유와 저항이라는 핵심 원리 제 3 장. 민주주의 바로 알기 3-1. 돌고 도는 민주주의 세상 1. 신비의 등장과 운영자 선출의 고민 2. 다양한 투표 방식 3. 민주주의 가면을 쓴 독재 4. 공공복리? 3-2. 민주주의 기본 원리: 단순과반수 원칙 3-3. 민주주의 기본 원리: 평등 1. 사회계약론과 평등 개념 2. 홉스(Thomas Hobbes)와 데카르트(Rene Descartes) 3. 자연상태와 국가 형성의 사회계약: 평등 구현 4. 룻쏘(Jean-Jacques Rousseau)와 사토리(Giovanni Sartori)의 평등 개념 3-4. 헌법과 민주주의: 주권과 평등 1. 주권재민(主權在民) 2. 헌법 속의 평등 (1) 교육 기회의 균등 (2) 사회적 약자 보호 (3) 법 앞의 평등, 양성 평등, 그리고 특권층 배제 (4) 정치적 평등: 1인 1표 (5) 경제적 평등 3-5. 자유민주주의 바로 알고 실천하기 제 4 장. 우리 정치 이야기: 자유민주주의 정치 발전의 모색 4-1.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1. 반공이 자유민주주의 그 자체는 아니다. 2. 자유민주주의 이념 스펙트럼: 진보, 중도, 보수 3. 진보 세력은 왜 약한가? 4. 우리 자유민주주의는 발전할 것인가? 4-2. 촛불 자유민주주의 1. 민주주의 = 대의제 민주주의? 2. 정치적 표현으로서 촛불 3. 대통령제의 한계? 4. 2008년 촛불의 정권 퇴진 주장 5.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은 선택이었다. 6. 자유민주주의 시민 운동으로서 2008년 촛불 4-3. 진보와 보수 이야기 1. 어느 권위주의자의 이념 놀이 2. 자유민주주의 좌파로서 진보 3. 왜 보수와 진보로 싸우는가? 4-4. 선거제도 개선: 결선투표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1. 현행 대통령 선거제도 개선 2. 정치적 지역주의 완화를 위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선 3. 대한민국은 독일이 아니다. (독일식 선거제도 평가) 4.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선은 “어떻게?” 이루나? 4-5. 공룡 정당 한나라당 쪼개기 1. 중위 투표자와 최소 승리연합 2. 지역주의를 지역주의로 쪼개기: 친노 신당? 3. 결선투표제와 쪼개기 의제 설정: 선거제도 변경의 정치적 조작 4. 공공의 적 권위주의 몰아내기 제 5 장. 자유민주주의 정치학 이야기 5-1. 라이커(William H. Riker) 교수와 자유주의 1. 자유주의자 라이커 교수 2. 라이커 교수의 저서: Liberalism against Populism 3. 룻쏘(Rousseau)에 대한 해석 4. 공동체 자유주의? 5-2. 링컨에 대한 평가와 마키아벨리(Machiavelli) 1. 어릴 때 읽었던 링컨 전기 2. 도덕과 정치의 분리 5-3. 링컨의 정치적 조작: 말의 향연 1. 국제정치학의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2. 칸트 <영구평화론>과 쌍방 자유 명제 3. 자유주의와 폭력, 그리고 투쟁 4. 링컨의 의제 설정 5. 정치적 조작 5-4. 룻쏘 “일병” 구하기 1. 룻쏘의 재해석 및 활용: 룻쏘로 평등 살리기 2. 한편 다른 진영에서는... 3. 히레스쎄티션과 정치적 조작 5-5. 정치와 경제 1. 자유주의/민주주의/자본주의 삼각편대 2. 권위주의와 경제발전 5-6. 남북한 관계 이야기 1. 커밍스(Bruce Cumings) 연구에 대한 평가 2. 김일성과 공산주의 항일투쟁 3. 38선 획정과 분단 4. 김정일과 “기쁨조”? 5. 북한 외교는 무엇을 추구했나? 6. 북핵 협상과 대북 정책 제 6 장. 생활 속의 자유민주주의 6-1. 자유민주주의에서 의견 상충은 어떻게 해결하나? 6-2. 약자는 강자를 어떻게 이길 수 있나? 1. 권위주의자 대 자유민주주의자 2. 맞대응(Tit-for-Tat) 전략과 가정 자유민주주의 6-3. 자유와 자유가 박치기 할 때 1. 자유주의 신체 접촉에 대해서 2. 조그만 저항이 자유를 키운다. 6-4. 공동체주의가 아니라 개인주의가 자유주의 근간이다. 1. 이기적 이타주의 2. 공동체와 개인주의 6-5. 사회적 약자와 평등 1. 눈물 나는 이야기 (교육 평등) 2. 현역 복무 보상 가능한가? 3. 여자가 군대에 가지 않는 것이 평등이다. 제 7 장. 자유민주주의 참여 전략과 인터넷 세상 7-1. 자유민주주의 참여: 맞대응 전략 (Tit-for-Tat Strategy) 1. 평화를 위한 전쟁 준비 2. 쓰리 스타급 박치기 문제: 용의자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3.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원형 4.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응용 5. 사회 부조리 시정의 딜레마 6. 용의자의 딜레마 반복게임과 맞대응 전략 7-2. 인터넷에서 자유와 권리 지키기 1. 심한 욕설과 인신공격에 대한 맞대응 2. 인터넷상의 욕설 문제 3. 권위주의가 될 수 있는 욕설 사용과 인신공격 4. 말리는 문화와 말리지 않을 자유 5. 자유민주주의 인터넷 문화를 향하여 7-3. 인터넷 소통 청정지역: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 게시판 1. 교수-학생 소통의 추억 (2009/07/01) (1) 교수와 괴수 (2) 학생들과 소통을 늘리려는 노력 (3) 대학원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한 학생들과 소통 2. 주말, 라면 이야기 (2008/07/27) 3. 자유주의적 술 마시기 (2008/03/03) 제 8 장. 맺음말: 자유민주주의로 살기 나가면서: 다시 생각해본 “성냥불 운동” 사회개선의 조그만 성냥불 성냥불 운동의 재평가 자유민주주의적 참여를 향하여 [인용 문헌] 감사의 말씀 저자 소개 <표 목차> <표2-1> 우석과 도준의 충돌 지점 <표4-1> 제18대 총선 결과 <표7-1> 쓰리 스타급 자유와 자유 박치기 <표7-2> 부정형 욕쟁이의 충돌 (용의자의 딜레마) <표7-3> 우석의 선택 <표7-4> 도준의 선택 <표7-5>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원형 <표7-6>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안보 딜레마 <표7-7> 사회 부조리 시정 엘리트 게임 <표7-8> 맞대응 전략이 항상 욕하는 전략을 만났을 때 [그림 목차] [그림3-1] 운영자 선출 토너먼트 승자 ======================================= 자유민주주의 성냥불 이야기 http://ahnabc.blogspot.com http://blog.naver.com/clearsea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