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chaconne (유로파) 날 짜 (Date): 2009년 09월 11일 (금) 오후 12시 45분 08초 제 목(Title): Re: 합리성 가정과 사회과학으로서 경제학 Behavior 란 용어 때문에 혼돈이 올 수 있겠습니다. 실증주의에 기반을 두었던 1930년대의 행태주의 (Behaviorism)나 60년대 미국의 월남전과, 유럽의 학생운동을 겪으며, 탁상공론적인 행태주의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당면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개입과 실천을 강조했던 후기행태주의가 있었습니다. (Post-Behaviorism) 경제학에서 얘기되는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은 위의 행태주의와는 다른 사조입니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 "행태경제학"이 아닌 "행동경제학"으로 칭합니다.)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의 비합리성을 인정하고 그 비합리성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하는 문제가 관건인 것으로 압니다. 규범적이고 추상적인 이성에 근거한 가치판단이 아니라 실제 일상생활에서 개개인들이 어떻게 판단을 하고 경제활동을 하는지가 궁금해진 것이죠. 경제학에 심리학을 도입해서 "실험경제학"이라고도 불린다하는데, 다소 미시적인 분석에 치우친 것이 아닌가하는 비판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