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Nyawoo (바람~냐우) 날 짜 (Date): 2009년 09월 10일 (목) 오전 02시 50분 18초 제 목(Title): Re: 사회과학은 과학인가? 아주 엄밀한 의미에서 주관성이 배제된 과학이 어디 있을까요. 객관을 지향하는 것이지. 저 위에 유로파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수학/논리학 마저도 객관성에 퀘스쳔마크(?)를 찍을 진데요. 여기서 사회과학을 논할 때 뒤에 붙는 과학이라는 말은 과학이 추구하는 방법론적인 면에 가중치를 훨씬 많이 둔다고 봅니다. 물론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공리나 가정을 들여다보면, 물리, 화학, 생물학,.... 이쪽에서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쪽으로 가면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의) 상대적인 객관성이 조금씩 떨어지는 것이겠죠. 17세기 이후의 경제학 이론은 어떻게 발전했는지 역사를 공부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 하지만, 현재의 경제학은 그 가정이 '공리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경제학에서 객관을 논하자면, 이 공리주의안에서의 객관이지요. 따라서 이 공리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경제학은 전혀 객관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셈입니다. 하지만, 그나마 공리주의 안에서 놀기때문에 다른 사회과학보다는 좀 더 객관성을 갖게 되는 셈이지요. 롤스의 사회 정의론에 대한 두 노벨상 수상자(Arrow와 Hassarny) 비판을 읽어보시면 경제학자들의 공리주의에 대한 입장과 학문 영역의 한계가 어떻게 되는지 좀 보실 수 있을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