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budpil ()
날 짜 (Date): 2009년 09월 03일 (목) 오후 02시 27분 12초
제 목(Title): Re: 우리나라 정당의 공동체 지향 (2)


사실상의 자유주의 진영에 비해서 좌파 진영이 이데올로기 편향이 강하고 

그런 측면에서 획일적 사회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위험스러운 측면을 드러내는 것 자체는 좋지만, 어떤 경향성이 확연하게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다만 논리적 연관에서 나쁜쪽으로 빠질 위험성이 

충분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벌어지지 않은 사실을 확증된 일 마냥 지적하는 건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은 생각입니다. 그런면에서 자유주의만이 안전한 것일수도 

있겠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하다보면 당연히 예상할 수 있는 '자유주의'의 나쁜점은, 

당연히 기득권과 힘있는 자들의 지배가 공고해지고 소위 이익이 충돌하는 시장에서

그 이익을 실현하는 방법이 점점 더 불공정해지게 되는 거 아닐까요? 자유주의가 

잘 작동할 수 밖에 없다는 증명이 필요한 셈이고, 잘 작동하는 것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구성원의 합의도 필요한 법이고, 뭐 이렇게 나가다 

보면 나이브하지만 '공동체'라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지 않나 싶네요. 정밀하게 

다듬어지지 않는 개념이거나 여러곳에서 혼용되는 점들은 한국 좌파 진영의 미성숙에

기인할수도 있을테구요.

..



뭐 저는 전문가도 아니고 또 사실 사용하시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만 한번 생각나는 걸 써봤습니다. 그냥 개인적 느낌을 말씀드리자면

정치과정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시는 것 같은데 그것도 나름대로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언젠가는 '정당화'의 문제에 부닥치지 않을까요?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