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lathi (크앙) 날 짜 (Date): 2009년 06월 17일 (수) 오후 11시 46분 51초 제 목(Title): Re: 20대와 관련한 글 과연 '20대 문제'라고 불리는 그것이, 세대의 문제인가 아니면 (일시적인) 연령의 문제인가는 반드시 짚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대 문제'가 정확히 어떻게 정의되는가도 사실 잘 모르겠으나, 제가 아는 범위에서 다음 두 문제에 대해서만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주장하려는 바는, 다음 문제는 연령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것입니다. 1) 투표하지 않는 20대 2) 보수화된 20대 1) 투표율 투표율의 경우 선관위 홈페이지에 가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08년도의 18대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투표율이 46.1%로, 97년 이후 대선, 지방선거(지선), 국회의원 선거(국선)를 모두 포함해서 최저의 투표율을 기록했습니다. 02년도 지선 (48.9%), 06년도 지선(51.6%)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08년 국선의 연령별 투표율 추이 곡선과 02년 지선, 06년도 지선의 연령별 투표율 추이 곡선이 그 수치(if normalized)와 형태에서 거의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08 국선(46.1%) 32.9% 24.2% 31.0% 06 지선(51.6%) 38.3% 29.6% 37.0% 02 지선(48.9%) 36.3% 27.0% 34.5% 02년도에 20대 후반이었던 사람들이 08년도에 30대가 되고 나니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높아졌으며, 현재의 20대들은 과거의 20대들에 비해 투표율이 현저히 낮지도 않습니다. 전반적인 투표율이 낮아질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연령이 20대 후반이라는 사실 외에는, 현재의 20대들에게만 고유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만약, 투표율 저하를 세대적인 문제로 주장하려고 한다면 현재의 30대들 역시 포함해서 다루어야 하며, 좀 더 예전의 투표율 자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2) 보수화 18대 총선 출구조사 결과, 20대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이 50% 초반으로 나타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 30, 40대 역시 한나라당 지지율이 40% 초반대였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후 최근 조사에 의하면 (리얼미터) 20대의 한나라당 지지율은 13.2%로, 30대의 19.6%, 40대의 24.5%에 비해 낮습니다. 또한 반면에 민노당, 진보신당 지지율은 20대에서 각각 13.3%, 12.2%로 나타난데에 비해 30대는 12.2%, 9.1%, 40대는 5.2%, 3.5% 입니다. 20대의 경우 정치적 선호가 유동적인 (휩쓸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보수화라기 보다는, 탈정치화가 더 적절한 표현일 것으로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