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inxs ( 설탕소년)
날 짜 (Date): 2008년 06월 15일 (일) 오후 10시 39분 32초
제 목(Title): Re: 왜 이명박을 찍었을까?




내 생각엔 경제라고 본다.

        노무현 시절에 1인당 GDP는 증가하였을지 몰라도

        양극화는 점점 심화되었다.

        서민들은 잘살고 싶었다!

        그래서 선택한 게 바로 이명박!!

___________

2008년 한국인의 행복 키워드 1위는 단연 ‘돈’ 또는 ‘돈과 관련된 
것’이었다. ERISS의 성인 남녀 1000명 대상 HSI 조사에서 ‘행복 
키워드(행복에 필요한 조건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위는 
‘경제력·풍요’였다. 표현은 조금씩 달랐지만 응답자의 21.4%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이어 건강(17%), 가족·가정(15.1%), 친구·대인관계(8.4%), 
신앙·마음가짐(8.1%) 등의 순이었다. 

직장·일(6.7%)과 성공·자아실현 등의 명예(5.7%)는 순위가 비교적 뒤로 
밀렸다. 일 명예 등 전통적인 가치를 담은 키워드보다는 경제력이나 인간관계 
등 실리적인 키워드가 주조를 이뤘다. 

‘경제력·풍요’를 행복의 키워드로 가장 많이 선택한 계층은 30대 
여성(22.4%)이었다. 남성 중에는 50대 이상(22%)이 경제력·풍요를 가장 많이 
골라 여성과 차이를 보였다. 가족구성 형태로 봤을 때는 단독가구의 23.7%가 
경제력·풍요를 꼽아 부부 2인 가구나 2·3세대 동거 가구(20% 안팎)보다 훨씬 
높았다. 직업이나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하면 소득이 낮을수록 경제력·풍요를 
중요하게 여기는 현상이 분명히 확인된다. 가구소득 200만원 미만은 23.5%가, 
500만원 이상은 19.6%가 경제력·풍요가 중요하다고 꼽았다. 
전문·경영·관리직은 18.0%가 경제력·풍요를 선택한 반면 무직·기타는 
24.4%가 선택했다.


→ 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가치 기준은 돈입니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돈이 최고다! 20%를 조금 넘는 사람들의 제 1가치가 돈이고 그렇다면 

제 2가치에도 돈을 놓아둘지 모릅니다. 

어떤 지롤을 해도 돈이 최고다!

도덕성은 필요 없다!! 

이지롤하다가 요즘 퍽탄 맞는 국민들이 조금씩 정신 차리는 건지 ...

큰 어나니의 돈이 suboptimal에는 동의 하지만, 어떤 일을 해도 

건강이 최우선이라고 보는 저는 돈을 너무 최고로 보는 현 사회에서는

1인당 GDP는 증가해도 행복지수는 나빠질 것 같군요





보면 하얗고
먹으면 달콤하고
녹으면 끈적한...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