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imnot (반이정)
날 짜 (Date): 2001년 8월  8일 수요일 오후 04시 50분 28초
제 목(Title): [질문] 예술과 기술의 관계/예술종말론 레�


미학관련하여, 제가 하도 사전 지식이 없는 터라,몇가지 질문 올립니다.

조금이라도 아시는 것이 있으시면,제게 답글을 보내주시거나, 이곳에 댓글을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올초 진중권씨가 교내에서 초대 강연을 한 적이 있었

는데, 강연 제목은 [디지털 복제시대의 삶과 예술] 이었습니다.

그 내용 가운데, 제 관심을 끈 것은  '기술과 예술의 관계'와, '예술의 종언'

이었는데, 강연이 올 4월경에 있었던 거라, 제가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진 않습니다만... 질문을 번호를 달아가며 적어보겠습니다.



1.기술과 예술의 관계란 소제목에서, Plato은 예술을 천한 것으로 취급하나

Aristotltes는 예술을 techne(제작술)이라고 하여, 예술을 기술로 취급해서

예술을 합리적 관점에서 구원하게 된다는 내용이 있었거든요. 예술을 기술로

취급할 경우, 어떻게 합리적 관점에서 구원된다는 건지 잘 이해가 안가며,

Aristotles의 그런 주장은 그의 어떤 글에 실려있는지요?


2. 또 기술과 예술의 관계란 소제목에서, Marx의 진보사관의 경우, 예술의

영역은 예외적 영역으로 제외시켜놓았다고 했습니다. 왜냐면 그의 진보사관

에 입각해서 볼 경우, 예술만은 유독 진보하는 것이 아닌 것 처럼보이기 때

문에 Marx적 사관에 어긋나게 되는 요소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Marx가 생각한 강구책은 예술을 그저 '향수(鄕愁)'로서 설명하려 든

다는 설명이었습니다. 가령 그리스 예술의 경우, 유년기에의 향수와 비슷하

다고 설명하는 식이었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있었으면 하고, 이 역시

Marx의 어떤 글에 수록된 건지 좀 알고 싶습니다. 꼭 Marx가 아닌 다른

막시스트 미학자의 어떤 글에 실린 것인지요?


3. 미학관련하여, 제가 하도 사전 지식이 없는 터라,몇가지 질문 올립니다.

조금이라도 아시는 것이 있으시면,제게 답글을 보내주시거나, 이곳에 댓글을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올초 진중권씨가 교내에서 초대 강연을 한 적이 있었

는데, 강연 제목은 [디지털 복제시대의 삶과 예술] 이었습니다.

그 내용 가운데, 제 관심을 끈 것은  '기술과 예술의 관계'와, '예술의 종언'

이었는데, 강연이 올 4월경에 있었던 거라, 제가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진 않습니다만... 질문을 번호를 달아가며 적어보겠습니다.



1.기술과 예술의 관계란 소제목에서, Plato은 예술을 천한 것으로 취급하나

Aristotltes는 예술을 techne(제작술)이라고 하여, 예술을 기술로 취급해서

예술을 합리적 관점에서 구원하게 된다는 내용이 있었거든요. 예술을 기술로

취급할 경우, 어떻게 합리적 관점에서 구원된다는 건지 잘 이해가 안가며,

Aristotles의 그런 주장은 그의 어떤 글에 실려있는지요?


2. 또 기술과 예술의 관계란 소제목에서, Marx의 진보사관의 경우, 예술의

영역은 예외적 영역으로 제외시켜놓았다고 했습니다. 왜냐면 그의 진보사관

에 입각해서 볼 경우, 예술만은 유독 진보하는 것이 아닌 것 처럼보이기 때

문에 Marx적 사관에 어긋나게 되는 요소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Marx가 생각한 강구책은 예술을 그저 '향수(鄕愁)'로서 설명하려 든

다는 설명이었습니다. 가령 그리스 예술의 경우, 유년기에의 향수와 비슷하

다고 설명하는 식이었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있었으면 하고, 이 역시

Marx의 어떤 글에 수록된 건지 좀 알고 싶습니다. 꼭 Marx가 아닌 다른

막시스트 미학자의 어떤 글에 실린 것인지요?


3. 20세기 들어서, '서구의 몰락'에 직면하여, 기술만능주의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인간이 기술/기계에 종속된다며, 낙관론을 비판했던 아도르노의

이론은 어디쯤 실려잇는 건지요?


4. 마지막~~!

예술종말론 부분에서 거론된  Baudrillard의 경우, 20세기 예술은 아름답

지 않기 때문에,(그의 표현을 빌면 초미적 현상이란 말을 통해) 현대예술의

종말을 고했다는 식의 내용이 있었는데, 이것의 레퍼런스와,

그가 예술에서 자꾸 분파가 이뤄져서, 가령 순수는 죽고, design같은 걸

이행한다고 하는데, 그런 내용이 어디에 실려있는 건지요?

그리고 보드리야르의 '예술은 단지 공모'라는 표현과 더불어서 이와

비슷한 표현을 백남준의 '예술은 고등사기'란 표현을 예로 들었는데, 이

것 역시 어디서 백남준이 그런 발언을 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대개는 reference 만 길게 길게 물어본 질문이었습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