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멋진이혼남) 날 짜 (Date): 2001년 6월 25일 월요일 오전 01시 53분 11초 제 목(Title): Re: 해상도 글쎄요. 해상도가 높은 도구를 가졌다는 이야기는 관련된 어떤 문제에 부딪쳤을 때 그 해결에 무척 유용한 도구를 가졌다는 뜻이겠지요. 문제 해결자체를 의미한다기 보다... 대부분 그런 의미로 생각할 듯... 암튼, 책소개 감사... 책 읽는데 무지 게으른 제가 책을 볼까 의심스럽기는 하지만... ^^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guest) 날 짜 (Date): 2001년 6월 23일 토요일 오후 05시 30분 35초 제 목(Title): Re: [퍼옴]인공지능의 빛과 그늘 인공지능이라기 보다는 인지과학(인공지능보다 좀 더 포괄적이죠)에 대한 요약문이라고 보여지네요. 글쓴이의 아이디어는 별로 안보이는군요. 이런 쪽으로 관심이 있으시면 민음사에서 나온 대우 학술 총서중 "인지과학", 이정모 외 이걸 한번 읽어보세요. 그리고 Morton의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ylosophy of Mind"도 한번 보세요. 인간의 의식에 대한 철학적 접근방법들을 아주 잘 정리해 놓았습니다. 꼬투리를 하나 잡자면 일본책 번역서를 참고해서 그런지 외국어표기가 많이 틀렸네요. LISP을 "리삽"이라고 한다던지.. 이번에 새로나오는 스필버그의 영화 AI도 비슷한 얘기거리를 제공해줄것 같네요.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guest) 날 짜 (Date): 2001년 6월 23일 토요일 오후 06시 09분 57초 제 목(Title): 해상도 과연 뇌안의 모든 뉴런이 순간순간 작동하는 것을 초고해상도로 관찰하는것만으로 인간의 의식을 이해 할수 있을까요? 위에서 다른분이 잠시 언급하셨듯이 인간게놈프로젝트처럼 너무나 방대한 데이타때문에 해석에 더 큰 어려움을 격지 않을까요? 문제의 심각도가 인간게놈 프로젝트보다 훨씬 더 클것 같은데요. ********************************************************* * 키즈 = 하나두 안사아칸 라임의 즐거운 놀이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