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parsec ( 먼 소 류 )
날 짜 (Date): 2000년 9월 22일 금요일 오후 11시 15분 17초
제 목(Title): Re: 현존하는 모계사회 모소족


네, 그렇겠죠. 모소족은 자녀의 아버지를 확인하려고 들지 않는답니다.
다음은 "한국미전도종족입양운동본부"라는 곳에서 소개하는 모소족에 대한
자료입니다.

http://www.aap.or.kr/clear/aap80/chn-mosu.htm

여기서 일부를 인용하면,

"사회구조 : 
모소족 문화에 "아쭈" 구조가 견고하게 지켜지고 있다. 한 남편을 취하는 대신에 
모소인들은 "walk in"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남자들은 단지 밤에 그들의 연인을 
방문하도록 허락되고 그리고 다음날 아침 일찍이 여인의 집을 떠나야 한다. 
모소 여인들은 같은 시간에 종종 두 번 혹은 그 이상의 아쭈 관계들을 가진다. 한 
아이가 태어나면 그 아기를 양육하는 책임은 어머니와 그녀의 형제들에 의해서 
지워진다. 종종 그 아버지의 정체성은 전혀 알려지지 않는다."

고 돼있습니다. 일부러 아버지를 확인할 단서를 없애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런 모계 사회에 가부장적인 종교인 기독교를 전하려고 하는 것은
완전히 체제전복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겠죠? ^^ *

그렇다면 남자들은 왜 양육의 책임을 지면서까지 자식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려고
했을까요? 자존심이나 영웅심리 같은 걸까요? 아니면 여자들의 힘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생활조건 같은 것을 만나서 남자를 경제활동과 가족제도의 중심으로 끌어들인
것일까요? 아니면 우연히 부계사회와 모계사회가 공존하고 있다가 어떤 이유에선지
서로간에 생존경쟁을 하게 되고 거기서 부계사회의 어떤 특징이 그 경쟁에서 
유리하게 작용한 걸까요?


par·sec /'par-"sek/ n. Etymology: parallax + second
Date: 1913 
: a unit of measure for interstellar space equal to the distance to 
an object having a parallax of one second or to 3.26 light-year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