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Hyena ( 횡 수) 날 짜 (Date): 2000년 5월 18일 목요일 오후 12시 55분 34초 제 목(Title): 노자 14 장 해석 視之不見名曰夷, 그것을 보아도 볼 수 없으니 夷(이)라 하고, 聽之不聞名曰希, 그것을 들어도 들리지 않으니 希(희)라 하고, 搏之不得名曰微. 그것을 잡아도 얻을 수 없으니 微(미)라 한다. 此三者不可致詰, 이 세가지는 따져서 물을 수 없으므로, 故混而爲一. 섞여 하나가 된다. 其上不(교), 其下不昧.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다. 繩繩不可名, 끊임없이 이어지며 이름을 붙일 수 없고, 復歸於無物, 다시 아무 것도 없는 곳으로 돌아가니, 是謂無狀之狀, 無物之狀, 이것을 모양 없는 모양, 물체 없는 형상이라 하며, 是謂恍惚. 이것을 황홀이라 한다. 迎之不見其首, 그것을 앞에서 맞이하여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隨之不見其後. 그것을 뒤에서 따라가도 그 뒤를 볼 수 없다.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옛날의 道를 잡아, 오늘의 있음을 다스려, 能知古始, 是謂道紀. 능히 옛날의 시작을 알 수 있으니, 이것을 道紀(도기)라고 이른다. 이 장에 나오는 한자 ------------------- * 夷 평평할 이 * 搏 잡을 박, 칠 박(手 + 斧로 이뤄진 형성문자. '도끼를 잡아 친다'는 원뜻) * 詰 물을 힐( 言 + 緊으로 이뤄진 형성문자. '긴박하게 말한다'는 원뜻으로 '추궁하다'라는 의미) * (교) 밝을 교 * 昧 어두울 매(日 + 微로 이뤄진 형성 문자. '날이 샐 무렵'이란 원뜻) * 恍 어슴푸레할 황(心 + 光으로 이뤄진 형성 문자. 光은 '뚜렷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의태어) * 惚 황홀한 홀(心 + 忽로 이뤄진 형성 문자. 忽은 '흐릿한 상태'를 나타내는 의태어. 합하여 마음이 멍한 상태를 의미) * 紀 법 기 狀과 象의 차이 -------------- * 狀 = 犬 + 像으로된 형성 문자. 개의 여러 가지 모양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모양'이란 의미. * 象 = 코끼리 시체 모양을 본뜬 상형 문자. 코끼리, 모습, 자태를 의미. --> 그러니깐 狀은 여러 가지로 변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象은 고정된 모양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볼 수 있을 듯(사견) 古本과 차이점 ------------- 14장은 죽간본에는 없고, 마왕퇴 백서본에는 있는 데, 왕필본과 다른 점 중에 한 가지는 마왕퇴 백서본에서는 夷와 微가 뒤 바뀌어 있다는 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