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Hyena ( 횡 수) 날 짜 (Date): 2000년 2월 28일 월요일 오전 11시 37분 18초 제 목(Title): 노자 2장에 나오는 한자 공부 * 之의 용법 이 글자 때문에 한자 원전이 외설적인 내용으로 종종 오해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경우는 독자 혼자만의 환상일 뿐이죠. ^^ 1. ~의, ~한(助詞) - 無名天地之始, (무명은 천지의 시작이고) (노자 1장) - 行不言之敎. (무언의 가르침을 실천합니다) (노자 2장) - 古之學者, 必有師. ( 옛날의 배우는 이에게는 반드시 스승이 있었다) 2. 그것, 그, 그들(목적어를 지칭하는 代詞) 代詞는 대명사로써 물건이나 사람을 다 지칭하고, 여기서는 목적어로 쓰입니다. - 同謂之玄. (그것을 같이 현이라고 부릅니다) (노자 1장) - 天下皆知美之爲美, (천하가 모두 그것을 미라고 아는 것이 미가 되지만)(노자 2장) - 吾從而師之(나는 그를 따라 스승으로 합니다) * 而의 용법 1. 형용사, 동사, 형용사구, 동사구를 연결하거나, 두 개의 절을 연결(連詞) 連詞는 접속사(?)로써 여기서 而는 순접, 역접, 인과, 선후, 가정 등을 나타냅니다. - 美而艶 (아름답고 요염하다) - 生而不有, 爲而不恃.(낳지만 소유하지 않고, 행하지만 빈대붙지 않는다.)(노자 2장) 2. 而 뒤의 동사를 수식(狀語) - 不得已而用之( 부득이하게 그것을 사용합니다)(노자 31장) - 吾恂恂而起(나는 조심 조심 일어납니다) * 焉의 용법 1. 거기에서, 그로부터, 그보다, 그 가운데( = 於之, 於是) - 三人行, 必有我師焉.(세 사람이 길을 가면, 그 가운데에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論語, 述而) - 萬物作焉而不辭(만물이 거기에서 생겨도 간섭하지 않습니다)(노자 2장) 제가 노자 쳇에서는 焉자를 어조사로 보고 해석을 하지 않았는 데, 다시 생각해보니 '거기에서'라는 뜻이 더 적당합니다. 2. 語氣詞(=어조사)로 무의미 주로 焉자가 문장 마지막에 쓰이는 경우로 1번 용법이 변한 경우입니다. 3. 의문사 - 君何患焉? (임금께서는 무엇을 걱정하십니까?)(左傳, 隱公元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