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e[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Hyena ( 횡 수) 날 짜 (Date): 2000년 2월 23일 수요일 오후 12시 17분 21초 제 목(Title): Re: [펌] 양주와 노장사상 도가 철학을 몰락한 귀족의 현실 도피적인 사상으로 보는 것은 노자 사상의 극히 단면만을 받아들인 자의적인 해석이라고 봅니다. 여기에는 중국 지배층인 지식인들의 기회주의적인 속성이 나타나 있습니다. 그들이 권력의 부귀 영화를 누릴 때는 유교를 얘기하고, 권력에서 멀어졌을 때는 도가 사상을 논함으로써 그 상실의 아픔을 달랬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도가 철학의 핵심은 권력이란 있을 때도 있고, 잃을 때도 있는 그 양측면을 다 보여주는 것입니다. 인간이란 항상 권력이 있고, 승자로서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권력이 없고 패자로서도 살아가는 존재이고 여기에는 인간이라면 그 누구라도 예외가 없다는 것을 얘기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권력, 승리를 너무 과시하지도 말고, 권력의 상실과 패배에 너무 상심할 것도 없다는 더 커다란 가르침을 우리에게 얘기하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