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magdo (막도)
날 짜 (Date): 1997년10월01일(수) 04시57분17초 ROK
제 목(Title): 내가 생각하는 "인간의 존엄"


저는  철학을 하는 사람은 아니고 물리를 하는 사람입니다. 
철학에 관심이 있어 여러 분들의 글을 애독하고 있답니다.

역사 역시 제가 잘 알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얕은 지식이지만 역사를 통해서 이야기 할 수 있
을 것 같습니다.

인간이 존엄하다고 하는 것은 근대 민주 사회에서
는 인간 공동의 약속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마치 금이 금시세라는 값을 가지듯이요.

종교에서 존엄하다고 하는 것은 좀더 깊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 인간의 총체를 바치
는 대상은 어떤 논리라던가 값어치가 부여될 수 
없는 것이지요.  주류종교들이 인간을 귀중하게 여
기는 것이 주류가 된 요인으로 설명할 수도 있겠
으나 자비니 박애니 하는 사상들은 인간을 사랑하
도록 하고, 인간은 자기가 사랑하는 것에 큰 가치
를 부여하는 법이지요. 종교와 윤리로 살았던 중세 
때 과학으로 파헤쳐지기 이전의 신비로운 존
엄성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요.

자연과학에선 인간의 존엄성의 이유를 찾을 수 없
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차원, 다른 영역의 대상이
라고 생각합니다. 자연과학이 추구하는 대상이 아
니지요. 객관화 될 수 없는 것을 연구하는 데 물리
학, 화학, 생물학은 익숙하지 않습니다. 베에토벤의 
음악을 아무리 주파수 분석하더라도 그것이 다른 
음악보다 훌륭하다는 이유를 찾을 수 있을까요?

(자연과학을 하는 사람으로써 지금까지의 과학의 
방법에 회의를 느낍니다. 이루어온 업적은 훌륭하
지만 과학방법을 생활신조로 삼기에는 넘 재미가 
없지요. 살 맛을 해체해 버린다고 할까요?)

명상가들이 자신의 정신세계에 침잠하여 큰 진
리를 깨닫는 경우에도 인간의 존엄성, 고귀함을 
말하곤 하는데, 이것이 종교의 시발이 되기도 하
지요. 글쎄요 이것은 앞에서 말했던 집착에 의한 
사랑 가치로 설명하기에는 무언가 있기는 한 것 
같은데....

여담이지만 제가 읽은 "자기조직하는 우주"(에리
히 얀치, 80) 에서는 종교(여러 사상)의 발생시
기가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그 당시 매체나 
인구 밀도, 사회 안정도 등의 시스템 역학적인 
고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환경이 새로운 계도
적(guiding) 이미지가 나올 수 있도록 하고 이 
이미지에 의해 환경이 변화하며 쌍방이 진화해 
나가는 것이지요. ( co-evolution ) 저는 비비에
스에서도 그런 진화가 이루어 나간다고 믿고 싶
은 사람이고요.  그럼.


 

                                   hswh@cais.kaist.ac.kr  

                 ////그들이 본 그곳은.....   그래서 그들은 지구로 돌아왔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