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Rachel (레이첼) 날 짜 (Date): 1996년08월18일(일) 14시02분04초 KDT 제 목(Title): 아이디님(형이상학의 올바른 이해) 흠~~~~형이상학은 과학의 영역이 아닙니다. 그리고 아이디님이 말슴 하신것 처럼 그렇게 간단하고 작은 분야도 아니지요. 철학은 형이상학을 하나의 큰 분야로 철학 안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철학을 전공하시지 않는 분들은 아마 사실 형이상학이라는 것의 개념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제가 설명하는데 제데로 전달되지 않는것 같아서 아쉬움이 남습니다만 ... ... 형이상학은 그렇게 단순하게 (제가 쉽게 이해를 돕기 위해 앞글에서 신을 사용 했지만) 신이다..또는 기다.....이런식으로 하나의 무언가로 단정 지어져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정말 설명하기가 어렵지만 실제의 세계를 공부하는 것이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를 뒷바침하고 기초를 가져다 주는 것 말입니다. 당연히 형이상학은 아니 모든 철학이 객관성을 많이 가질수질수는 없지요. 그것이 바로 철학 이니까요. 그리고 만일 형이상학이 경험이나 다른 어떤 직관적 지식을 통해서 확실화 된다면 그건 당연히 형이상학이 아니지요. 그것을 다 셜명하고 이해 한다면 우리가 무한한 존재인것 아니겠습니까? 아이디님의 말씀은 (오해하지 마시고) 형이상학에 대해 잘 모르시는듯 합니다. 앞에 잇는 칸트의 형이상학의 부분에 글이 잇는데 거긴 신도 기도 전혀 어떤 이름지어지는것이 없지요. 형이상학은 간다하게 무엇이든 beyond physical 한것을 말합니다. 전에 이런글을 나눈적이 있습니다. 종교는 믿음이 중요 하기때문에 철학을 따라오지 못한다 라는 말에 철학역시 어떤 높은 사고 역시 한 형태의 믿음을 요구한다고 말입니다. 그것이 철학입니다. 철학은 결코 과학이라는 한정된 영역에 속해 잇는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아이디님은 형이상학의 조금 부족한 이해로 오히려 철학 자체를 이상한 방향으로 이해를 몰고 있는듯 느껴 지는군요. 당연히 철학이라는것 (본래는 과학도 다 포함하고 있는 광범위한 분야 이지만) 최소한 인식이나 형이상학 그래고 많은 다른 부분들에 있어서 철학에서 객관성을 운운 하는것은 조금 우습군요. 모두 각자 자기가 믿는 데로 자기의 나름데로의 철학으로 살아가고 있는것 아닙니까? 그런 철학을 두고 확실성이 0에 가갑다고 이야기 하는것은 무언가 철학 자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큰 모순을 만드는것 같군요. 그렇다고 확실성이 높은 과학이 다 라고 믿는것도 우리가 가진 유한한 본질에 맞추어 볼때 어떻게 그게 다 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까? 우리가 알고 보는 것은 결국 부분적 이해인데 말입니다. 바로 형이상학은 전체를 이해하고 볼 수 잇는 길을 제세하는 것이죠. 당연히 여러가지 다른 철학으로 다른 형테가 만들어 지지만 말입니다. 형이상학은 바로 진리에 조금이라도 가까워 지려는 인간의 노력인 것이죠.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철학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Rach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