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ECH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ssss) <posb.postech.ac.> 날 짜 (Date): 2000년 4월 28일 금요일 오전 02시 51분 44초 제 목(Title): 카이랄 구조.... 의약품 독성분리 쉬워진다 의약품을 만들 때 독성과 약리성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획기적인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 지능초분자연구단(단장 김기문 화학과 교수·46, http://css.postech.ac.kr)은 키랄성 유기분자를 금속이온으로 묶어 `키랄 다공성 결정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과학잡지 <네이처> 27일자에 발표했다. 키랄성이란 한 물질에 들어 있어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동일하지만 다른 물질과 접촉할 때 악성과 양성 등 전혀 상반된 반응을 갖는 현상을 말한다. 지난 50년대 독일에서 기형아 출산으로 큰 충격을 주었던 신경안정제 탈리도마이드는 약리작용을 하는 물질과 기형을 유발하는 물질이 섞인 대표적 키랄성 의약품이었다. 김 교수팀은 새로 개발한 결정물질이 키랄성 의약품에서 두 물질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새 결정물질은 물질내 빈 공간이 키랄성 환경을 갖고 있어 정밀공학제품이나 의약품의 제작·가공 때 키랄성 물질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합성하는 촉매로 쓰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포항공대(POSTECH)의 머리글자를 따 POST-1이라고 이름붙였다. 현대 의약품의 3분 2는 키랄성 물질이며, 전세계 키랄성 의약품의 판매 총액은 1천억달러로 해마다 100억달러씩 증가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92년 키랄성 의약품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약리작용이 있는 한 물질만을 팔도록 하는 규정을 제정한 바 있다. 서울대 응용화학부 현택환 교수는 “하나의 키랄 물질만을 분리해 내거나 합성하는 키로테크놀로지는 화학자들의 가장 큰 숙제였다”며 “POST-1은 유기물-무기물 합성물질로 좀더 안정성이 뛰어난 무기물 키랄 다공성 결정물질 개발에 발판이 될 연구성과”라고 평가했다. 이근영 기자kylee@hani.co.kr ---------------------------------------------------------------------------- 얼마전에 수업 시간에 카이랄 구조를 분리하는 것이 요즘 화학자의 가장 큰 이슈라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었는데... 축하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