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ECH ] in KIDS 글 쓴 이(By): gamti (졸려... ) 날 짜 (Date): 1999년 12월 16일 목요일 오전 02시 20분 53초 제 목(Title): Re: AIDS DNA vaccine에 대한 답변 솔직히.. 저두... 2마리 갖구.. 끝.. 한다는 건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으.. 논문 쓰다 보니.. 이런 표현이 버릇 됐어.. --; ) 제가 2학년 때 분석 화학처음엔 통계에 대해서 배웠죠.. 일반적으로 반복 실험이 어려운 경우.. 그리고.. 조절이 가능한 경우.. 최소한 3번의 실험 부터는 통계상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그것마저도 힘든 경우에는 2번의 실험도 재현성 면에서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고 결론짓지요.. 사실.. 이것 때문에 문제되는 일도 있겠지만. 1년씩이나 걸리는 실험을 적어도 100번은 해야 믿을 수 있다.. 라고 한다면.. 화학과 생명공학, 그리고 약학 등은 이미 죽은 학문이 되어 있겠지요.. 게스트 님께서 든 예는 여기 실험하고는 좀.. 다른 것 같은데요.. 뇌 이미지... 어떤 실험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얼핏 듣기로 지문과 같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것에 대해 겨우 수번의 실험으로 결론 맺기는 힘들 것 같네요.. (지문 5개 보고.. 사람의 지문은 이렇게 다섯 종류였다.. 라고 하는 것이 말도 안 되는 것처럼... ) 그렇지만... 병이라는 것은.. A가 걸리면.. 종이 같은 B도 걸린다.. 만일.. 개개인의 차이로 인하여 B에서는 발현이 되지 않을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바이러스는 남아 있겠죠. 이번 실험에서는 바이러스가 사라졌다니.. 2마리에 대한 실험으로도 충분한 결과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대조군이라.. 자연치유된 대조군이 없어서 충분한 숫자가 아니라고 하셨는지요.. 대조군으로 설정된 2마린지.. 3마린지.. 충분한 수라고 보이는 데요?? 잘못된 백신을 맞은 원숭이는.. 제 생각엔 대조군으로 생각할 수 잇는데요.. 고등학교 수준으로 생각을 하신다면.. 잘 만들어진 백신대신에 소용 없는 무언가를 맞은 원숭이.. 쯤 되겠죠.. p.s. 3번 정도의 실험을 통계로 계산하기 위한 통계가.. student t value라는 것입니다. 그거 찾아보면.. 최소의 반복횟수 N >_ 3이라고 나올껍니다. (휴우~~~ 그러고 보니.. 이거 배운 것도.. 도대체 몇년전이지.. -_-;; ) 또 뭔가 하나 있었는데.. 워낙 오래 돼서.. 기억이 가물.. -_-;; I wish that you are always happy~~~ Live a Happy Life... I wish that you are always happy~~~ Live a Happy 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