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OSTECH ] in KIDS
글 쓴 이(By): caught (꿈의극장)
날 짜 (Date): 1999년 9월  2일 목요일 오후 04시 55분 44초
제 목(Title): BK21 앞으로의 대책


선정된 정보나 생명, 기계, 화공을 제외한 물리, 재료, 화학
등의 학과의 경우는 교수님들이 어떤 대책을 강구하고 있
는지 궁금합니다.

재료공학의 경우, 서울대와 과학원 재료과가 BK21의 지원을
받으면서 신장해 나아갈 때 이에 뒤지지 않기 위해선 그에
못지않은 충분한 자금 확보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텐데요.

두번째로 대학원생 입시 문제가 대두되겠네요. 타학교의
우수학생들이 BK21로 선정된 서울대나 과학원으로 몰리는
현상이 일어날텐데, 과연 어떤 merit를 내세워 그들을
포항으로 데려 올 것인가도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이건 BK21에 관계없이 항상 존재하는 고질적인
포항공대 대학원의 문제점인데요...너무 manpower가 
부족합니다. 1인당 output을 따지고 보면 국내 최고, 아니
세계 최고일 것입니다. 하지만, 한 실험실에 구성원이 3~4
명 있어가지고 아무리 1인당 output이 많아도 전체적인
숫자를 따지고 보면 적다고 느껴집니다. 어나니 보드에서
어떤 분이 지적하셨듯이 박사 숫자만 따지고 보면 과학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합니다. 대학원에서의 연구는 주로 박사과정
학생들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 박사학생들의 수가 너무
적어요. 어쨋든 man power를 지금보다 2배는 늘려야 합니다.

어나니 보드나 서울대 보드에서 난무하는 토론에는 되도록이면
관여하지 맙시다. 대부분 학교간의 감정 싸움으로 번져져서
서로 기력만 소모할 뿐입니다. 정작 싸워야 할 대상은 BK21
사업단 관계자들인데 말이죠. 솔직히 포항공대 졸업생 입장
으로서 저도 조금 열을 받았습니다.

어쨋든 이번 기회가 오히려 좋은 기회라고도 생각됩니다.
너무 포항에만 머물러 있다보면 우리가 하는 일이 최고라고만
생각하기 쉬운데 다른 곳에 있는 사람들도 굉장히 열심히
하고 있다...분야에 따라서는 포항공대보다 훨씬 낫더라...
이런 현실적인 자각을 하고 앞으로를 위해 열심히 연구
에 매진했으면 합니다. 논문도 많이 쓰고...특허도 몇 개
내고....밤새도록 고민도 좀 하고.....

그럼 20000.....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