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ongJi ] in KIDS 글 쓴 이(By): aeolus () 날 짜 (Date): 1997년10월06일(월) 08시22분03초 ROK 제 목(Title): Internet 11 21. 인터넷 관련 국내 기구 및 협의체 ① KNC(Korea Networking Council) : 한국전산망협의회 국내의 학술 및 연구용 전산망 활동의 조정(1991년 설립) 국내 전산망 조직 간의 운영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정립 국내 인터넷 이용활성화와 전산망간 상호연동 및 조정 역할 전산망의 기술 개발 의장과 20인 이내의 국가기간 전산망의 총괄기관 또는 전담 사업자, 인 터넷 운영자, PC통신 사업자 및 부가 통신망 사업자 등의 단체 기관과 인터넷 및 컴퓨터 통신 관련 전문가로 구성 조정위원회(KNC Steering Committee), SG-INET, IETF-KR과 KRNET 등 4개 의 위원회 ② CERT-KOREA(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KOREA) 인터넷상의 해커나 침입자의 문제를 해결 CERT-KOREA와 그 가입기관은 상호 합의된 바에 의해 보안 사고에 대한 명백한 관점으로 협력하여 침입자를 추적하고 예방 주요 서비스 WWW 서비스 : CERT-KOREA 소개 및 해외 WWW 연결 FTP 서비스 : 관련정보 및 도구 서비스 ③ SG-INET : 전산망 기술자 협의회 한국내 인터넷 운영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 각 망(KREN, KREONet, KORNET, Dacom-Internet, NuriNet, Aminet)의 실 무 책임자, 국내 인터넷 관련 모임의 대표자, 기술자들이 여러 가지 주 제를 가지고 매2개월마다 모여 현안 사항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제반 활동을 수행 22. 네트워크정보센터(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① 특징 인터넷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IP 주소, 도메인 이름 등)을 제공 한다. NIC들은 글로벌 인터넷상에서 국가별, 대륙별, 인터넷 서비스 제공기관 (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별로 편성되어 분산 운영된다. RFC1466에서는 NIC의 계층화, 체계화를 위해 IP 주소할당 서비스를 대륙 별, 국가별로 분담하여 수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당담지역NIC 이름 역할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국가가 운영하는 아시아태평양 APNIC 조직으로 운영국가별로 업무를 분담하고 협 조하는 체계 유 럽RIPENCC 유럽 대륙의 NIC 업무 담당 미국 및 기타InterINC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유럽지역을 제외한 그 외의 지역을 담당 ────────────────────────────────── ■ APNIC의 기능 분담 ────────────────────── 지역별 NIC 역할 ────────────────────── KRNIC(한국) 정보 서비스 JPNIC(일본) 인터넷 등록 서비스 AUNIC(호주) 디렉토리 서비스 ────────────────────── ② NIC의 기능 일반 사용자에 대한 질의/응답 서비스 고유 인터넷 번호에 대한 조정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관리 정보 자원의 생성 및 제공 망관리 정보의 생성 및 유지 ③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 한국망정보센터 ■ 특징 국내 인터넷의 기능유지와 이용 활성화 인터넷 이용기관을 위한 IP 주소 및 도메인 등록 서비스 수행 주요 정보서비스를 제공 한국을 대표한 인터넷 공식기구, 상위 인터넷정보센터(APNIC)와의 정보 교환, 업무협력, 기술교류 등의 활동 수행 ■ 기능 도메인 이름 등록 및 할당 도메인 이름 서비스 수행 디렉토리 및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정보서비스(Information Services) ; WWW, FTP, 아치, 고퍼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