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ongJi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aeolus) 날 짜 (Date): 1997년09월27일(토) 08시15분22초 ROK 제 목(Title): Internet 7 13. LAN의 전송매체에 의한 분류 ■ 전송매체에 의한 분류 전송매체란? : 네트워크상의 각 노드를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채널 ① 트위스티드페어(twisted pair) - 전자적 유도현상을 줄이기 위해 두 가닥의 전선을 꼬아놓은 것 - 음성신호에 적합하며 노드 부착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잡음(noise)에 약하고 전송거리에 제한을 받는다. - 비교적 저속도(1∼10Mbps)를 지원한다. ②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 잡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통신선을 여러 겹의 피막으로 둘러싼 케이블 - 폭넓은 대역폭(bandwidth),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 지원 - 전기적 간섭이 작아서 LAN에서 가장 많이 이용 - 초당 10∼12Mbit를 전송할 수 있다. ③ 광섬유(fiber optics) -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유리섬유를 이용 - 넓은 대역폭을 갖고 외부 간섭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며, 네트워크 보 안성이 크다는 장점 -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대략 1Gbits이고, 오류는 1Gbits당 1bit로서 매우 적다. 14. 전용선 또는 인터네트 노드로 접속하는 방법 ♠ 전용선 또는 인터넷 노드로 접속하는 방법 이 방식은 전용선을 이용해 자신의 컴퓨터를 영구히 인터넷의 일원이 되도 록 하는 방법입니다..즉, 인터네트 노드로 등록하는 방법을 말합니다.전 용선에 의한 연결 방식이야말로 모든 인터네트 사용자가 꿈꾸는 방식일 것이 다. 이 방법으로 연결하게 되면 인터넷의 모든 장점을 누릴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일반 개인이나 중소기업이 사용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대기업이나 큰 기관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 해 연결을 하게 되면 모든 인터넷 시설에 완벽하게 연결을 할 수가 있습니 다. 보통 전용선은 56KB, T1, T3 라인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이 방식을 구 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설치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이 들어갑니다. 그럼 과연 이 방식으로 인터네트에 연결하려면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까? 전용선에 의한 연결 방식은 그 어떤 연결 방식보다도 비용이 더 많이 든 다. 이 방식으로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미니 컴퓨터와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그리고 약 1,000만원 정도 하는 라우터(Router)라는 장비가 있어야 하고요. 또한, 전용선 설치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이 추가가 되든요. 전용선 임대료 는 56KB인 경우에는 대락 한 달에 60만원 정도이고 T3급인 경우에는 약 300 만원 정도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자신의 회사 이름을 노드 네임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들 어, cdrom.com이나 joongang.co.kr 등이 그것이다.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완전한 전용선에 의한 인터넷 연결과 24시간 SLIP에 의한 연결 방법이 있습니다. 새롭게 인터넷 노드가되고자 하는기업이나 조직은 InterNIC (Inter-Networking Information Center)과 접촉해 도메인 명을 받아야 하고 요. 노드명은 자신의 이름이나 기업 명과 같이 고유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전세계에 하나만 존재해야 겠죠? 우리 나라에서는 한국 망 정보 센터(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이 업무를 담당하고있 을껄요. 이 방법에 의한 연결 방식은 다름 방법에 의한 연결 방식과 비교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1) FTP 서버를 설치할 수가 있다. 즉, 인터넷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지 설치된 FTP 서버에 있는 파일에 접속해 그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는 의 미입니다. 2) 인터넷에 항상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언제라도 필요하면 인터넷를이 용할 수가 있습니다. 3) 파일 전송에 걸리는 시간 등이 훨씬 단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