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UD ] in KIDS 글 쓴 이(By): babyimp (우우웅) 날 짜 (Date): 1995년06월08일(목) 00시13분05초 KDT 제 목(Title): 틴틴 사용법에 대한 작은 조언 에구 좀 느졌군요.. OsuperO님의 지지에 힘입어. 계속 쓰겠습니당... :) 오늘은 #susbstitute와 #antisubstitute에 대해서 알아보죠.. #alias가 사용자가 치는 명령을 치환해주는 명령어라면 #substitute는 화면에 나오는 문자열을 치환해 주는 명령입니다.. 그룹으로 플레이를 하다보면.. 화면에 너무 많은 문자열이 나와 (스크롤이 밀린다고 표현하죠) 접속이 끊기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물론 재수 없는 경우지만) 이런걸 미연에 방지하고 또 눈에 띄이지 않는 부분을 쉽게 볼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여집니다.. 예를 들어... 싸움중에 Alisa disintergrates DeathCure with his slash. 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substitute {disintergrates} {-*dis*-} 이렇게 해놓으신다면.. Alisa -*dis*- DeathCure with his slash.라고 간단히 나오게 되죠.. 또... 누군가가... blind 되었을경우... Alisa seems to be blinded! 라고 나오게 됩니다.. 제가 avata 화면으로 보고 있다면.. 이럴경우.. 싸우고 있다면 이 문장이 잘보이지 않습니다.. #substitute {%1 seems to be blinded!} {### %1 BLINDED ###} 라고 해놓으신다면.. ### Alisa BLINDED ### 라고 나와서. 싸움중에도 누가 blind되었는지 금방 식별할수 있게됩니다.. 여기에 %1이라는게 나왔는데.. %0,%1,%2등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쓸수 있는 변수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즉 그부분을 그대로 치환해주죠.. 위의 예를 보시면 알수 있으실껍니다.. #antisubstitute는.. substitute할때. 치환해서는 알될것들을 지정합니다.. PANIC이라는 단어가 싸움중에 많이 맞았을경우 나오는데 잘못해서 이게 치환되어 버린다면.. 알수 없게됩니다.. 그래서 #antisubstitute {PANIC} {PANIC} 해놓으시면.. 치환되더라고 PANIC은 치환되지 않습니다.. 또 유용하게 쓰이는 명령으로 #tickon, #tickset등이 있습니다.. 머드는 tick이라는 단위로 구성되고 1 tick은 12 턴으로 구성됩니다.. 1 턴이란 싸움중 [hp,mana,move]가 다시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즉 한번 공격하고 맞는걸 말합니다.. 이 시간을 잘알고 있어야... 머드 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sanctuary나 haste가 꺼질때 tick이 걸린것입니다.. 하지만 haste꺼지길 기다려서 tick을 알려고 하면 너무 오래 기달려야 합니다.. (1 tick은 60초임) 그래서 #tickon이라고 해놓으신다면.. 틱일 걸릴때마다 #TICK이라는 문자열을 출력해 줍니다.. 문제는 틴틴이 표시해주는 틱하고 머드 내의 틱하고 처음에는 맞지 않습니다. 이것을 맞추기 위해 #tickset이라는 명령을 씁니다.. #action {The lightning has stop} {#tickset} 이렇게 해놓으면 The lightning has stop 이라는 문자열이 나올때.. 틱을 맞추게 됩니다.. 인위적으로 haste가 꺼지거나 sanctuary가 꺼질때 맞추어도 됩니다.. 이제 틴틴명령중 잘쓰이는 대표적인 명령을 거의 배우셨습니다. 제 설명이 조금 부실했을지 모르겠네요.. 다음엔 자주 쓰이는 예제로 배워보고.. 스스로 작성해서 쓰도록 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