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T ] in KIDS 글 쓴 이(By): Renoir (르놔르~) 날 짜 (Date): 1997년02월27일(목) 07시41분43초 KST 제 목(Title): 미국 경제의 잠재 불황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단은 World Future Society 에서 나온 내용으로 보면, 첫째 또 다른 베이비붐이 생길 듯 보인다는 것이고 (2000~2012 사이에) 일본,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맞을 것이라는 것이다. 요즘의 미국 상황을 보면, 그런 기세가 조금씩 보이는데 그 중 몇가지만 추려내면... 1. 1/4 분기 경상 수지 적자가 예상외로 클 것이며 2. 중산층의 신용 추락과 은행들의 자금난/부실 채권 3. 고달러로 인한 무역 수지 악화로 행정부에 대한 마찰 증가와 해외 진출 증가 예: 이스라엘, 인도, 대만, 동남아, 한국 등. (기업들의 해외 진출 증가는 단기적 효과만 있을 뿐 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못주고 국가 경쟁력이 오히려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함. 일본의 예를 보면 알 수 있음) 4. IT 치중의 현재 산업구조에서 유전공학, 신소재 개발등으로 바뀌면서 경제계 마찰과 실업률 증가를 일으킬 듯 보임. 인플레이션에 못미치는 임금인상으로 국민 불만 고조. 한국이 불안한 만큼, 더 덩치가 큰 미국은 그 불안 요소들이 만들어 낼 혼란이 대단히 크리라고 생각된다. 아무래도 manufacturing 쪽으로 뚫고 나가는 방법을 모색해봐야겠다. -르놔르~ =-=-=-=-=-=-=-=-=-=-=-=-=-=-=-=-=-=-=-=-=-=-=-=-=-=-=-=-=-=-=-=-=-=-=-=-=-=-= 살아가는 것이란 변화한다는 것이며, Hoon Kim 완벽하게 되는 것은 끊임없이 변화함으로 (617)354-5694, hpkim@mit.edu 이뤄지는 것이다. - 김 훈, 1972~현재 http://www.mit.edu/people/hp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