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T ] in KIDS 글 쓴 이(By): chosta (수험생) 날 짜 (Date): 1996년05월09일(목) 05시37분13초 KST 제 목(Title): re] 학생 연구원 인건비... > (1)"학교" (2) "과" (3) "실험실" (4) "인건비 책정기준" > (5) 월당 실 수령액 (6) 기타... 먼저 , 저는 이런 쪽으로 아는 게 별루 없습니다.. 근데 왜 답하냐구요?? .. 남들이 아무도 안해서.. 그리고 아무도 안할것 같아서.. (그리고 오히려전법님을 알기 때매.. 형 기억나요?? Chamber에서 2nd violin 맨뒤에 앉아서 맨날 삑사리만 내던애?? 그게 접니다.. =] ) Charles , msandi, woodykos, 또는 paeng 님들 께서 이방면은 더 잘 아시리라 생각이 되지만.. 그분들은 너무 바쁘셔서..(난 오늘도 Charles 봤다..공부안하고 노는 거..) 제가 아는 만큼 답을 해보겠습니다.. (죽돌이가 이런거나 하지 모하겠어요??) (틀린거 있음 고쳐주세요..) (1) 학교: MIT (2) 과 : 과에 무관하게.. (3) 실험실 : 실험실에 무관하게 (4) 인건비 책정 기준 : 교수가 학생을 고용시 RA를 준다, 어떤애들은 TA를 한다. (5) 월당 실 수령액 :약 $ 1300/month for RA $1400/month for TA (6) 기타. 제가 느끼기에는 미국의 대학원과 한국의 대학원의 개념이 좀 다른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대학원 안다녀본 저로써 위의 말은 다분히 근거가 � 없다갰졔� 되지만., 한국에서 대학원 다니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볼때 그런것 같아요.. 먼저 가장 큰 차이는 학비. 이동네에서 1년에 학비만 $22,000 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런 큰 돈을 낼 능력이 없지요.. 그럼 누가 내냐구요? 학교에서 냅니다. 즉, 교수를 잡아서 일을 시작하면 교수가 학생을 일 시킨 대가로 학비와 월급을 줍니다. 이걸 RA라고 하는데,, 요즘은 이거 잡기도 참 힘드네요..(..나만 그런가??) RA 로 돈을 못받는 학생은 TA (조교)를 하는데 조교수당으로 학비 + 월급을 학교에서 받습니다.. 그럼 학교가 돈이 그렇게 많은가??.. 그게 아니고... 교수가 프로젝트를 따올때 학생을 몇명 쓸것인지 대충 쓰면, 프로젝트비에서 학생의 인건비가 그만큼 (학비 + 월급 ..약 $36000/year) 나가는 거죠.. 회사쪽에서 볼때 너무 비싸다구요??.. 비싸면 좀 싼학교로 가면 되잔아요.. 그럼 여기의 모든 학생이 TA나 RA를 받고 다니느냐... 그건 아닙니다.. 한 30-40%의 학생들은 여기 올때 장학재단에서 돈을 받고 옵니다. ^^^^^ (아무 근거 없는 숫자.) (ex)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RPA(이게 모 약자지??) 등등..) 이런경우 교수는 꽁짜로 학생을 쓰게 된다고 볼수 있죠... RA, TA, 장학재단도 아닌 자기돈으로 오는 경우도 요즘은 늘고 있습니다.. (많은 해외 학생이 그렇게 옵니다.. 그들이 자기네 나라 장학재단 돈 받고 오는 지 어쩌는지는 자기들이 말하지 않는 이상 모름..) ...대충 여기까지... 따라서 간단 합니다.. 학교 다닐라면 1년에 약 $36,000이 있어야 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학교에서 RA, TA, 또는 장학재단에서 받아서 내구..(거의 대부분) 어떤 사람들은 자기돈 내고 오고... (돈없으면 배째든가 학교 나가든가.. =] ) 참고로 미국애들중에서 자기돈 내고 다니는 애들은 별루 못봤어요... 개내들은 자기 생돈내고 대학원 다니는게 상식 밖인 것 같습니다.. 대학원도 임금이 싼 일종의 직업이죠... $1300 월급이 한국에서는 많아 보이겠지만.. 실제로 이동네 물가를 생각할때..(비싼 집세와 MIT의 바가지 요금 (위 MIT 도둑놈들 시리즈 참조)) 을 생각했을때 결코 많은게 아닙니다.. (아사하지 않을 만큼임... 실제로 tax 띠면 $1000정도 남나?? 안 받아봐서 모르겠다.. :( )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sorry ... i never told you.. all i wanted to say. http://www.mit.edu:8001/people/chosta/home.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