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FreeBSD ] in KIDS 글 쓴 이(By): Starless (Starless) 날 짜 (Date): 1999년 3월 3일 수요일 오전 10시 37분 44초 제 목(Title): Re: [질문] x윈도우에서 한글이... 정확히 어떤 문제인지를 알지를 못하니까 대강 전반적인 얘기를 주절거려보겠읍니다. RH50이상에서 한글문제를 처리하는건 glibc2의 locale에서 엇비슷 한 것을 정의하고, X-application을 띄울때 LANG 환경변수에 따라 한글 폰트 로딩에 관해 프로그램이 결정하도록 했다고 들었읍니다. (틀리면 고쳐주기.) 어쨌거나, X-app에서 타이틀바나 메뉴에서 한글이 전혀 안보인다는 것은 그 가능성이: 1. LANG environment variable이 제대로 지정되지 않았다. 이때는 쉽죠. 그냥 setenv LANG ko (csh) 또는 LANG=ko; export LANG 이걸로 해결되니까요. 2. X의 locale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 이거 보려면 아마도 X 디렉토리 밑에 어디엔가 있는 locale을 찾아봐야합니다. 근데 아까는 glibc2 locale얘기하더니 왠 X locale? 이건 XF86이 자체 로케일을 사용할수 있다고 하기때문 입니다. 이거 왜 보냐면, 보통 우리말 땜빵이 된 프로그램들은 컴파일할때 -DX_LOCALE을 주고 만드는게 보통이거든요. 메뉴에서 보이는것이 아무것도 없다면, 그건 윈도우매니저의 문 제라ㅏ고 합니다. 그걸 다시 컴파일하심이. 3. 뭐가뭔지 모르지만 하여간 안된다. 생각하기 귀찮다. RH를 계속 쓴다는 전제하에 '알짜'배포본을 받아오시면 해결되겠 네요. X서버, freetype, 윈도우매니저. 이정도를 받아오시면 해결이 되리라고 보네요. (뭐 빠뜨린거 없죠?) Starless ... and Bible Bl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