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FreeBSD ] in KIDS 글 쓴 이(By): morph ( 머 더 ) 날 짜 (Date): 2001년 3월 14일 수요일 오전 03시 37분 15초 제 목(Title): Re: [질문] FreeBSD에 VMWARE 까는 법 전 FreeBSD 4.3-BETA에 vmware2를 설치해서 그 위에 FreeBSD 5.0-CURRENT와 OpenBSD 2.8-current, Win2k를 잘 쓰고 있습니다. (+XFree86 4.0.2) 음. OpenBSD의 경우엔 잘.. 은 아닙니다만.. -_- 여하튼, 보통은 Windows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vmware를 설치하니까.. 그래픽카드/엑스서버가 DGA를 지원해서 VMWare를 풀스크린으로 쓰는것에 문제만 없다면 사무용으론 무리가 없습니다. (동영상/게임은 힘들어요.) 설치는 ports/emulators/vmware2 에서 make install 만으로 끝이나는데.. 전 Netgraph Briding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Netgraph Bridging의 경우엔 NAT를 하지 않고도 네트웍이 잘 된다고들 그러는거 같은데.. 저의 경우엔 이미 ppp-nat 를 하고 있기 때문에 궂이 그럴 필요가 없어 vmware configuration에서 host-only networking으로 private address를 잡아준다음 nat로 네트웍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치시 ng_bridge를 할것인지 아닌지 묻습니다.) 그 외 신경써야 할것은.. FreeBSD에선 raw partition은 사용할수가 없고 virtual disk(디스크 하나당 2G제한)만 사용할 수 있구요.. moused + XFree86을 사용해서 sysmouse를 사용하고 있을경우엔 Host Mouse Type을 Auto가 아닌 PS/2 로 맞춰줘야 합니다. 텍스트 콘솔 풀스크린은 사용할수 없으며 윈도우 상태에서도 아주 느리기 때문에 부팅만 시켜두고 리모트 로긴을 해서 작업하는게 정신건강상 좋구요.. 그래픽(윈도우, X..)은 풀스크린과 풀스크린이 아닌경우의 속도차가 엄청나니 꼭 풀스크린으로 쓰시구요.. 뭐.. 별로 어려울건 없으니 직접 해보시면 별 문제 없이 사용하실수 있을겁니다. 추가합니다. vmware2 설치후 리붓을 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려면 sh /usr/local/etc/rc.d/rtc.sh start sh /usr/local/etc/rc.d/vmware.sh start 를 하셔야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