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Univ ] in KIDS 글 쓴 이(By): choco (조 장 호) 날 짜 (Date): 1993년11월01일(월) 00시19분09초 KST 제 목(Title): 리스크에 대한 자료... 음...KoRISC라는 것두 있었군녀...음..고려대에서 만들구 있는 리스크인가 부져? 음...전 리스크에 대해 나온 책이나 적어보져. 음...우선 기본적인 것에서 부터 advanced topic까지 광범위하게 잘다룬 책으로는 J. Hennessy 와 D. Patterson이 공동으로 쓴 [1] "Computer Architecture -- A Quantitative Approach" 란 책이 있는데 책이 좀 두꺼워요.... 그리구 대전에선 복사본두 본거 같은데 서울에서는 복사본 팔지 모르겠군여. 헤네시는 버클리 리스크, 패터슨은 밉스를 설계했던 리스크의 원조격인 사람들이죠. 그리고 얇은 책들로는 Paul Chow의 [2] MIPS-X RISC Microprocessor 란 책이 있읍니다.(KAP출판...얇아요) 이책은 밉스에 대한책이구요. 음..또 제가 석사 1년차때 전산기 구조에서 텀프로젝트 할때 봤던 책으론 [3] RISC Architectures for VLSI 라구 Manolis G.H. Katevenis 의 박사논문이 있구요.(이건 좀 구하기 힘들거 같군요. 버클리 리스크에 대해 잘 나온 책인데.) 그리구 논문집으론 [4] The SPARC Technical Papers...이것역시 해적판이 네여..음...괜히 썼당. 그리고, IEEE Computer Society에서 출판한 [5]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s란 논문집이 있어요... 그외에 많은 자료들이 나와 있을텐데...(실제로 리스크야 모 이제 너무 상식적인 말이 되서... 서점에 가면 많은 책이 있을껍니다.) *음..그런데 학부 텀프로젝트 수준으로 빨리 볼수 있는건 Paul Chow의 책([2] 번요)이나 내가 봤던 [3]의 박사논문이 정말 적당한데... MIPX-X는 서점에 있으니까 걱정없구요. 음... 박사논문은 아는 대학원생 있으면 있는지 알아보시구요. 과목 맡은 교수님께 찾아가심 되겠군요. 그리고 바이블처럼 여기는 책은 제일 처음 얘기했던 헤네시하구 페터슨 의 [1]번 책인거 같아요. 이건 관심 있음 계속 공부할수 있는 좋은 책이죠. 두꺼우니깐...빨랑 보기에는 힘들구.... 음...이만 할래여...쩝....부탁 받구 갑자기 쓸려니까 주절주절 떠들기만 했군요...도움이 될 수 있음 좋겠는데... 이만... (참 우리나라 리스크로는 우리 실험실에서 만든 그림돌이 잇어요...히히) 이거 선전 함 더 할까? 히히..이거 현대에서 대량생산 공정 셋업하구 있는데... 음...히히..우리나라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생산한다는거...히히..정말 신나지 않아요? 음음... 전 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과 설계자동화 연구실에 있읍니당... 그럼 이만 총총....(에잉 시그너춰 만들어 두는건데...히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