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beom (김상범)
날 짜 (Date): 1993년07월29일(목) 21시00분47초 KDT
제 목(Title): 좋은 주유소...

    음... 건방지다거나 부티 자랑한다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나중에는 다 필요한 정보가 될 테니까 그냥 읽어주세요.


    주유소마다 '여기 기름은 질이 낮아',  '어디 기름이 좋더라'
하는 이야기들을 하곤 합니다.  이것이 과연 어디까지 진실인가?
우리는 오늘 여러분에게 바로 그것을 알려주고 싶은겁니다.

    우선 주유소별로 기름이 차이 나는 것을 따지기 전에, 먼저
어떤 기름 회사의 기름이냐도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유공, 쌍용, 호남, 경인, 극동 등 여러 정유회사에서
기름이 정제되는데, 코카콜라와 펩시콜라 맛이 다르듯, 정유회사에
따라 생산되는 기름의 질도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경유면 경유, 개솔린이면 개솔린이 증류되는 온도에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정제시설이 다른 곳에서 생산되는 기름이라
특성에 차이가 생기는 것이 사실입니다.
    예전에는 쌍용정유 기름을 좀 높이 쳐 주었는데, 요즘은 유공
기름도 질이 아주 좋아진 듯 합니다.  실제로 어디서 어떤 기름을
넣었느냐에 따라서 주행 연비에 차이가 오는 것을 실험으로 알 수
있습니다.  ( 여담: 자신의 차의 주행 연비를 계산할때는 
대충 연료계를 보고 한두번 주유해 보고 하는 것으로는 안됩니다.
되도록이면 자신이 직접 기름을 가득 채우고 한참 달린후, 다시
기름을 가득 채우고 달리고, 몇번 이렇게 반복 한 후에
마지막으로 기름을 가득 채운다음, 여태까지 달린 거리와 채운
기름의 양을 가지고 연비를 계산해야 합니다. )

    정유 업체의 상표도 중요하지만 또 중요한 것이 '직영' 이냐 아니냐
라고들 합니다.   예를 들어 유공 직영, 이라는 것은 다른 중간
거래 업체를 몇단계 거치지 않고 유공에서 직접 운영하는 주유소라는
뜻이겠지요.    당연히 다른 주유소보다 더 믿을 수 있을 것입니다.
(얼마전에 경부고속도로 하행 10km 지점 만남의 광장에 있는
호남정유 주유소가 기름의 양을 속여서 판매하던 것이 들통난적이
있지요.  고속도로에 휴게소의 주유소라도 결코 100% 믿을 수는
없다는 것을 상기시켜주었음. )

    정유업체의 상표, 운영 외에 중요한 것이 주유소의 위치 입니다.
주유소의 위치가 왜 중요하냐하면, 주유소의 위치에 따라 그 주 고객층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화물차만 잔뜩 다니는 도로변에
위치한 주유소에서 개솔린을 넣는 것은 별로 바람직한 일이 아니겠지요.
이것은 그 주유소가 기름에 뭐 이상한 것을 섞는 다던가 아니면
양을 속인다던가 하는 우려때문이 아니라, 고인 물이 썩는다! 뭐 이런
것과 비슷한 이야기 입니다.    생수통 18리터 짜리 하나 사놓고
몇달씩 먹는다면 물의 질이 어떻겠습니까?   경유만 순환되는 탱크를
가지고 있는 주유소의 개솔린 탱크 기름의 질은 그다지 좋지 않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비슷한 이유로 막 새로 생긴 주유소의 기름도 웬만하면 피하라...
는게 정설인것 같습니다.  새로 생긴 주유소의 탱크는 제대로 깨끗하게
청소가 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많고, 따라서 처음 탱크에 채워넣는
기름에도 잡다한 것들이 섞여서 기름의 질이 떨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지요.

    요즘 주유소가 여기 저기 생기면서 서비스도 많이 주는 곳을
볼 수 있는데, 서비스 품목보다는 정말 기름 질이 좋은 곳을
찾아가는게 더 경제적일듯.....

    유성 시외 버스 터미널 옆 3거리 (요즘은 4거리로 바뀌었던가?)
에 위치한 유공 주유소는 겉보기에는 매우 허름한 것 같은데,
기름의 질은 뜻밖으로 좋은것 같더군요.

    그외 서울에서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주유소는 삼풍백화점
바로 길건너 있는 유공의 삼풍주유소입니다. 서비스 품목이 엄청
많고 서비스 질도 높은 것 같음. (앞 유리창, 백미러 닦아주는 것은
기본이고, 기본 서비스 품목 (팡이제로, 무슨 스프레이 등등..) 1개
이외에도 기름 영수증을 음료수 캔과 같이 주더군요.)

    음.. 그리고 질문 한가지.. 주유소간에는 거리 제한인가 뭐
그런 비슷한 것이 있어서, 반경 몇 킬로인가 이내에 주유소가
있는 장소에는 새로 주유소를 만들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대전 동양백화점에서 북쪽으로 2-3블럭인가에 있는 4거리에는
4거리 모퉁이 2군데에 주유소가 있던데.. 이거 어떻게 된건지?
혹시 아시는 분 계세요?  주유소 거리 제한이 없어진건가?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