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atsbi (뇌짱) 날 짜 (Date): 2004년 10월 26일 화요일 오전 09시 16분 35초 제 목(Title): [p]일반상대성이론 예측 현상 측정 성공 일반상대성이론 예측 현상 측정 성공 미국과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해 예측돼온 소위 '관성계 이끌림 효과(frame-dragging effect)'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영국 BBC 인터넷판이 22일 보도했다. 관성계 이끌림 효과는 일반상대성 이론에 의해 1918년 처음 예측된 것으로 질량이 매우 큰 물체가 회전하면 그 물체의 중력 때문에 주변의 시공간(time-space)이 따라서 회전하는 현상이다. 이탈리아 레체대학의 이그나시오 치우폴리니 교수와 미국 볼티모어 지구시스템 기술합동센터 에리코스 파블리스 박사는 과학저널 '네이처' 최신호에서 지구 주위를 회전하는 인공위성의 궤도를 정밀 측정해 관성계 이끌림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11년에 걸쳐 지구 주위를 회전하고 있는 라지오스 1,2호 인공위성의 움직임을 정밀 분석, 지구 중력에 의해 시공간이 따라 회전하고 있으며 이 현상 때문에 이들 인공위성의 궤도에도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라지오스 1,2호는 지구의 지각변동을 관측하는 위성으로 이 위성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신호는 보통 중력장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이용되지만 연구진은 이 자료를 관성계 이끌림 효과에 의한 인공위성 궤도 변화를 조사하는데 사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분석결과는 아인슈타인 이론에 의해 예측된 값의 99%에 해당한다며 이 결과의 불확실성은 10% 정도라고 말했다. 미국 콜로라도대학 닐 애슈비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한 논평에서 "이 결과는 관성계 이끌림 효과를 최초로 정확하게 측정한 것"이라며 "앞으로 지구 자기장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면 이 결과에 대한 추가분석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진은 지난 1998년에 이에 대한 예비결과를 발표했으며 당시 학계는 대체로 비판적인 입장이었으나 이번 결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미 항공우주국(NASA)은 이 관성계 이끌림 현상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지난 4월 6억 달러의 비용과 수십 년 간의 추진 끝에 '중력탐사 B' 위성을 발사했으며 현재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 중이다. 등록일 2004/10/25 정보출처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news/20041022/080200000020041022164340K2.html) ^^^^^^^^^^^^^^^^^^^^^^^^^^^^^^^^^^^^^^^^^^^#####^^^^^^^^^^^^^^^^^^^^^^^^^^^^^^ ^ 진리는 단순하고 진실은 소박하다. |.-o| ^ ㄴ[ L ]ㄱ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