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chopin (** 쇼팽 **) 날 짜 (Date): 2004년 5월 15일 토요일 오전 12시 51분 29초 제 목(Title): Re: 귀신보는 법 - 4. 동물들도 귀신을 볼� . 곤충과 동식물이 닮은 모습을 나타내는 것은 그 모양이 유전자에 코딩되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세포분열에 의해서 프랙탈로 몸체를 만들면 유전자에 아주 적은 정보만 가지고도 코딩이 가능한 모양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형태를 뇌가 학습이전에 본능적으로 인식하도록 유전자에 코딩하는 문제는 그와 완전히 다릅니다. 보통 뇌에 정교한 회로를 구성하도록 유전자에 정보를 써넣는 문제는 훨씬 더 어렵습니다. 뇌의 발달과정이 일반적인 몸체를 구성하는 것과 다를 뿐아니라 어느 이상 정교한 모양을 구분해내도록 코딩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습니다. 게다가 맹수와 맹수아닌 것을 구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교한 그리고 매우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맹수의 얼굴은 맹수가 아닌 다른 많은 동물들의 얼굴과 거의 유사하고, 그리고 사람의 얼굴과도 구조적으로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그 차이를 유전자상에 코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해도 과장된 말이 아닙니다. 더욱이 맹수는 종류도 여러가지였고 지역마다 살고 있는 맹수도 다르고 계속 바뀌었 기 때문에 한 종을 유전자에 코딩해 넣을 수 있다고 해도 별로 이득도 없었을 겁니다. 그래서 유전자에 코딩된 것은 두 눈이나 얼굴의 윤곽에 더 민감하도록 만들어진 정도입니다. 자신을 노리는 두눈이나 살아있는 존재를 피하기만 하면 목적은 달성되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완벽하게 맹수만을 피하는 유전자를 발전시킬 필요는 없었습니다. 덤으로 사람이던, 맹수이던 낌새가 이상한 것은 무조건 피하는 습성을 진화시켰으니 지금형태의 귀신회로는 꽤 잘 만들어진 것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__ 쇼팽 http://brainew.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