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cookie ()
날 짜 (Date): 2004년 5월 11일 화요일 오후 07시 50분 04초
제 목(Title): Re: 귀신보는 법 - 4. 동물들도 귀신을 볼�


사람만 동물의 눈에 민감한게 아니라 대부분의 고등동물은 다 눈모양의 패턴에

민감합니다. 피식자나 포식자나 다 그렇죠.

포식자는 먹이를 찾기위해 피식자는 포식자를 피하기위해..

새종류도 다 그렇구요. 심지어는 의태하는 애벌레중에 머리통에 

큼지막한 눈모양의 패턴으로 새를 놀라게하는 벌레도 있습니다.

다만 얼굴에 민감한 건 영장류의 특징인거 같습니다.

다른 종류들은 개체의 구분을 보통 냄새로 하고 표정이 풍부하지 않고

또 집단 생활에서 감정의 교류가 그리 중요하지 않은데..

사람과 영장류는 표정이 풍부하고 또 표정과 얼굴을 통한 의사/감정

교환이 사회생활과 개인생존에 중요하니까 발달한거죠.

저는 영화볼 때마다 등장인물 얼굴이 햇갈리고 예전에 만났던 

사람들 얼굴을 잘 알아보지 못하는 얼굴치라..

그게 사회생활에 얼마나 중요한지 잘알죠.

이마빡에 666 바코드 새기자는 국민투표하면 저는 찬성표를 던질겁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