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kurian (꾸량) 날 짜 (Date): 2004년 2월 14일 토요일 오전 12시 00분 23초 제 목(Title): Re: 황우석교수 줄기세포 관련 완전한 공상일지도 모르지만.... 다른 외국 랩에서도 황교수팀의 ES cloning을 이미 성공했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대외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퍼블리쉬를 하지않고.. 지금같은 상황이 오기만을 기다리면서, 여건이 좋아지면, 후다닥 셋업하는 척 하면서.. 그동안의 대외비로 진척되었던 프로젝트를 공개하는 시나리오인데.. ㅡ.ㅡ;; 충분히 plausible하다고 생각되는것이.. ES cell의 pluripotency가 윤리니 나발이니 하는 것 때문에 포기하기에는 참 매력적인 능력이라서요.. 아울러 돈냄새도 물씬 풍기고.. tetratocarcinoma라는건 논문에도 없고, 저도 첨 들어보는 놈인데.. 논문에는 teratoma의 발생을 유도시켰군요.. 뭐.. 이게 당장 ES cell이 therapy에 사용되지못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암튼, ICM에서 유도된 hES line의 pluri- or totipotency를 확인하는 용도로 쓰인거구요.. 다른 동물에서 다 되는거.. human에서도 된다는게 뒷더미를 서늘하게 만드는것 말고는. 과학적으로 쇼킹한건 저 개인적으로는 별롭니다만... ㅡ.ㅡ;; 만에하나, 황교수 논문의 reproducibility가 논란이 된다면, 자칫,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도매급으로 구라쟁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난 번 김양곤 교수의 포텐셜마져 같이 터져주면, 설상가상이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