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guest) <adsl-66-72-180-2>
날 짜 (Date): 2003년 7월 28일 월요일 오후 11시 22분 25초
제 목(Title): Re: [생명기계]3. 생명기계의 진화


제가 쇼팽님 글을 다 읽지 않아서 드는 질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만약에 생명체도 finite state machine이나 finite state automata로

모델링 되고  state transition도 deterministic하게 모델링 되었다면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었던(cell 처럼 4방으로 연결되었던 또는

3차원 큐브처럼 6면으로 연결되었던.... 연결된 상태를 펼쳐서

하나의 통합된  state machine으로 변환가능할 것이고  이 통합된
machine 의  태 는 상당히 늘어났기 하 만  또한finite 하고 이것의
transition 도 deterministic할 것 같습니다. 

진화도 일종의 state transition으로 본다면 생명체의 진화과정도
정해진 상태와 룰에 따라서  play되는 것으로 보아야 올은 것인지.
아니면 finite state machine말고 또다른 무엇인가를 이용해야 하는지
이 community의 정설은 무엇인지요....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